편집국장 고하승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뼈아픈 패배를 맛본 국민의당은 박지원 대표의 사퇴 등 적잖은 후폭풍이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때 문재인 대통령과 양강구도를 형성했던 안철수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에게조차 밀리는 수모를 당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당의 최대 텃밭인 호남에서마저 전패(全敗)한 까닭이다. 사실 안철수 후보 패배의 가장 큰 원인 제공자는 박지원 대표다.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최고 정점을 찍은 시점이 4월 11일이었다. 일부 여론조사에선 양자 가상대결은 물론 다자구도 가상대결에서도 문재인 대통령보다 앞서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었다. 그런데 바로 그 다음날부터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보다 무려 두 배 이상 지지율이 높게 나오던 대구.경북 지역에서 큰 폭으로 빠지기 시작했다.
대체, 12일에 국민의당에선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날은 이른바 ‘박지원-손학규 투톱 선대위’ 체제가 출범한 날이었다. 형식상 ‘투톱’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당권을 거머쥐고 있는 박지원 독주체제의 선대위인 셈이다.
당시 안철수 측근 인사인 문병호 최고위원이 박지원 대표에게 ‘백의종군’을 요청했고, 호남지역구 출신의 황주홍 최고위원도 그의 의견에 동조했지만 박 대표는 그런 요청을 일방적으로 묵살하고 말았다.
그 이후에도 박 대표가 포함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단체 대화방에서 일부 지역위원장이 지속적으로 “비호남권 보수 표심을 흡수하기 위해 박 대표가 살신성인해 달라”며 2선 후퇴를 요구하기도 했지만 박 대표는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참혹했다.
이른바 ‘안찍박(안철수를 찍으면 박지원이 상왕 된다)’이라는 논리가 대구.경북은 물론 영남권 전체로 확산되었고, 급기야 충청권과 수도권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그로 인해 안 후보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추락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손학규 상임선대위원장이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의 연대카드를 꺼내들었으나 박지원 대표의 반대로 이마저도 무산되고 말았다.
손학규 위원장은 당시 박지원 대표로 인해 안철수 후보의 안보관에 불안을 느끼는 중도.보수 성향 유권자들에게 믿음을 주기 위한 방편으로 바른정당과의 연대를 모색했다.
비록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의 지지율이 5% 안팎에 불과하지만 ‘안철수-유승민 연대’는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 안 후보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해 중도.보수층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40석 미니정당’에 대한 불안감마저 해소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안철수-유승민 연대’는 필승카드가 될 수 있었다는 게 손 위원장의 생각이었다.
당내 중진 의원들도 상당수가 이대로는 안된다며 손 위원장의 연대론에 힘을 실어주었다. 하지만 박 대표는 이마저도 외면하고 말았다.
심지어 박 대표는 당시 "우리 당에서도 개인적으로 의견을 가진 분도 있겠지만 소위 말하는 '자강론'으로 갈 것"이라며 "어떤 분들이 개인적인 의견을 말하는 것도 가급적 말이 안 나오게 당부드렸다"고 손 위원장의 연대론에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 결과 안철수 후보가 홍준표 의원에게조차 밀리는 수모를 당하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박지원 대표는 그에 따른 책임을 지고 당장 대표직에서 당장 물러나야 할 것이다.
국민의당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박 대표는 마땅히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아마도 박 대표를 비롯해 호남 중진 의원들은 내심 집권당이 된 민주당과 흡수합병 및 연대통합이 되기를 희망하겠지만, 그것은 올바른 선택이 아니다.
국민의당에는 기득권 세력이 지배하는 양당체제를 끝장내고 다당제 체제를 뿌리 내리라는 준엄한 국민의 명령이 주어졌다. 따라서 국민의당은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한국당이 ‘적대적 공생관계’를 이루지 못하도록 양당을 견제하고 분권형 개헌을 주도하는 정당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선행할 일은 바른정당과의 통합이다.
바른정당 역시 존폐위기에 놓인 만큼 굳이 통합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그렇게 해서 단단한 제3정당의 위치를 굳히게 된다면 안철수 후보와 유승민 후보는 모두 5년 후를 다시 기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모쪼록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해 ‘바른국민의당’이 새롭게 탄생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그 정당의 초대 당 대표로는 안철수와 유승민을 하나로 묶어낼 역량을 갖춘 손학규 위원장이 적임자일 것이다. 통합 정당이 그를 당 대표로 추대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안 후보와 유 후보가 지원사격에 나선다면 상당한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현명한 판단을 기대해 본다.
![]() |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뼈아픈 패배를 맛본 국민의당은 박지원 대표의 사퇴 등 적잖은 후폭풍이 잇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때 문재인 대통령과 양강구도를 형성했던 안철수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에게조차 밀리는 수모를 당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당의 최대 텃밭인 호남에서마저 전패(全敗)한 까닭이다. 사실 안철수 후보 패배의 가장 큰 원인 제공자는 박지원 대표다.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최고 정점을 찍은 시점이 4월 11일이었다. 일부 여론조사에선 양자 가상대결은 물론 다자구도 가상대결에서도 문재인 대통령보다 앞서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었다. 그런데 바로 그 다음날부터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보다 무려 두 배 이상 지지율이 높게 나오던 대구.경북 지역에서 큰 폭으로 빠지기 시작했다.
대체, 12일에 국민의당에선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날은 이른바 ‘박지원-손학규 투톱 선대위’ 체제가 출범한 날이었다. 형식상 ‘투톱’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당권을 거머쥐고 있는 박지원 독주체제의 선대위인 셈이다.
당시 안철수 측근 인사인 문병호 최고위원이 박지원 대표에게 ‘백의종군’을 요청했고, 호남지역구 출신의 황주홍 최고위원도 그의 의견에 동조했지만 박 대표는 그런 요청을 일방적으로 묵살하고 말았다.
그 이후에도 박 대표가 포함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단체 대화방에서 일부 지역위원장이 지속적으로 “비호남권 보수 표심을 흡수하기 위해 박 대표가 살신성인해 달라”며 2선 후퇴를 요구하기도 했지만 박 대표는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다.
그 결과는 참혹했다.
이른바 ‘안찍박(안철수를 찍으면 박지원이 상왕 된다)’이라는 논리가 대구.경북은 물론 영남권 전체로 확산되었고, 급기야 충청권과 수도권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그로 인해 안 후보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추락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손학규 상임선대위원장이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의 연대카드를 꺼내들었으나 박지원 대표의 반대로 이마저도 무산되고 말았다.
손학규 위원장은 당시 박지원 대표로 인해 안철수 후보의 안보관에 불안을 느끼는 중도.보수 성향 유권자들에게 믿음을 주기 위한 방편으로 바른정당과의 연대를 모색했다.
비록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의 지지율이 5% 안팎에 불과하지만 ‘안철수-유승민 연대’는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 안 후보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해 중도.보수층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40석 미니정당’에 대한 불안감마저 해소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안철수-유승민 연대’는 필승카드가 될 수 있었다는 게 손 위원장의 생각이었다.
당내 중진 의원들도 상당수가 이대로는 안된다며 손 위원장의 연대론에 힘을 실어주었다. 하지만 박 대표는 이마저도 외면하고 말았다.
심지어 박 대표는 당시 "우리 당에서도 개인적으로 의견을 가진 분도 있겠지만 소위 말하는 '자강론'으로 갈 것"이라며 "어떤 분들이 개인적인 의견을 말하는 것도 가급적 말이 안 나오게 당부드렸다"고 손 위원장의 연대론에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 결과 안철수 후보가 홍준표 의원에게조차 밀리는 수모를 당하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박지원 대표는 그에 따른 책임을 지고 당장 대표직에서 당장 물러나야 할 것이다.
국민의당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박 대표는 마땅히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아마도 박 대표를 비롯해 호남 중진 의원들은 내심 집권당이 된 민주당과 흡수합병 및 연대통합이 되기를 희망하겠지만, 그것은 올바른 선택이 아니다.
국민의당에는 기득권 세력이 지배하는 양당체제를 끝장내고 다당제 체제를 뿌리 내리라는 준엄한 국민의 명령이 주어졌다. 따라서 국민의당은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한국당이 ‘적대적 공생관계’를 이루지 못하도록 양당을 견제하고 분권형 개헌을 주도하는 정당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선행할 일은 바른정당과의 통합이다.
바른정당 역시 존폐위기에 놓인 만큼 굳이 통합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그렇게 해서 단단한 제3정당의 위치를 굳히게 된다면 안철수 후보와 유승민 후보는 모두 5년 후를 다시 기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모쪼록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해 ‘바른국민의당’이 새롭게 탄생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그 정당의 초대 당 대표로는 안철수와 유승민을 하나로 묶어낼 역량을 갖춘 손학규 위원장이 적임자일 것이다. 통합 정당이 그를 당 대표로 추대하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안 후보와 유 후보가 지원사격에 나선다면 상당한 파괴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현명한 판단을 기대해 본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