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여영준 기자]질병관리본부가 봄철 어린이 수두환자 증가에 따른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며 학부모와 학교에 감염예방을 위한 협조를 당부했다.
23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수두 환자수가 4월 이후 크게 증가해 지난 3월 3937명, 지난 4월 6224명, 이달 현재까지 5479명으로 집계됐다.
수두는 미열을 시작으로 온몸에 발진성 수포(물집)가 1주일가량 지속되는 감염병으로, 피부병변과의 접촉 또는 대화·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감염된다.
시기적으로는 4~6월과 11월~1월에 많이 발생하며, 예방접종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해당 질환이 6세 이하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교 저학년층에서 발생률이 높다”며 “봄철 유행시기인지라 증가세가 지속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두 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3주 이내 동일 학급에서 수두 환자가 5% 이상 발생하면 관할 보건소에 곧바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보건당국은 발진 등 수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일단 보육기관이나 학교에 가지 말라고 권고했으며,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후 모든 수포에 딱지가 앉아 전염력이 없어졌다고 판정될 때 다시 등교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23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수두 환자수가 4월 이후 크게 증가해 지난 3월 3937명, 지난 4월 6224명, 이달 현재까지 5479명으로 집계됐다.
수두는 미열을 시작으로 온몸에 발진성 수포(물집)가 1주일가량 지속되는 감염병으로, 피부병변과의 접촉 또는 대화·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감염된다.
시기적으로는 4~6월과 11월~1월에 많이 발생하며, 예방접종을 하면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해당 질환이 6세 이하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교 저학년층에서 발생률이 높다”며 “봄철 유행시기인지라 증가세가 지속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두 유행을 차단하기 위해 3주 이내 동일 학급에서 수두 환자가 5% 이상 발생하면 관할 보건소에 곧바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보건당국은 발진 등 수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일단 보육기관이나 학교에 가지 말라고 권고했으며,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후 모든 수포에 딱지가 앉아 전염력이 없어졌다고 판정될 때 다시 등교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