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하승
정대철 국민의당 상임고문이 25일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안철수 전 대표의 당권 도전설에 대해 “죄악”이라고 규정하며 맹비난하고 나섰다.
정 고문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국민적 정서를 봐서는 패배, 그것도 3등까지 한 후보는 국민들한테 죄악"이라며 당권에 도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안 전 대표는)석고대죄하고 '아이고, 국민들 죄송합니다. 이긴다고까지 한 사람이 졌습니다'하고 반성하고 다시 충전을 해서 정치를 하거나 아니면 정치를 못하거나 이런 자세가 국민들한테 맞다”고 지적했다.
물론 안철수 전 대표가 당권에 도전한다면, 그건 ‘제2의 홍준표’가 되겠다는 것으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전 경남지사는 대선패배이후 당 지도부에 대해선 사퇴론을 제기하면서도 정작 선거패배의 가장 책임이 큰 후보였던 자신은 당권도전 의사를 공공연히 밝히고 있어 당 안팎으로부터 손가락질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만일 안 전 대표가 대선패배 책임을 지고 박지원 대표 등 지도부가 총 사퇴했는데, 그 자리를 탐내고 후보였던 자신이 당대표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 나간다면, 홍준표 전 지사와 다를 게 없다.
그런데 안 전 대표는 추호도 그럴 생각이 없다.
실제 안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이날 ‘8월 전대 출마설’에 대해 “지금은 나설 때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러면 ‘안철수 당권도전설’은 왜 불거져 나온 것일까?
아마도 문병호 전 최고위원이 “안철수 전 대표가 일선에 복귀해 당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전당대회 출마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 화근인 것 같다.
물론 문 전 최고위원의 절박한 심정을 이해 못하는 바가 아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인천시장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는 그로서는 ‘호남딜레마’를 극복하지 않으면 당장 내년 지방선거가 어려워 질 것이라고 판단에 따라 안 전 대표가 당의 전면에 나서는 게 좋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안 전 대표에게 ‘제2의 홍준표’가 되라고 요구하는 건 너무 가혹하다. 그것은 ‘제3당’의 길을 걸어가야 할 국민의당 앞길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 전 최고위원은 앞으로 발언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대철 상임고문의 발언은 너무 지나치다.
당의 어른으로서 안 전 대표가 8월 전대에 출마할 의사가 없음에도 출마를 가정해 “죄악”이라고 단죄한 것이 과연 올바른 처신이겠는가.
혹시 자신이 안철수계의 반대로 비상대책위원장이 되지 못한 것에 대한 화풀이라면 그것은 더더욱 옳지 않다.
그런데 그럴 가능성이 농후한 게 사실이다.
국민의당 소속 동교동계 원로 그룹은 당장은 아니지만 향후 더불어민주당에 합류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정대철 상임고문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하라는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집단적으로 탈당하겠다며 협박 아닌 협박을 해왔다.
그런데 이를 제지한 게 바로 안철수계 현역의원들이다.
결국 동교동계 원로들이 정대철 고문의 비대위원장 추대 결정을 접었고, 정 고문도 백의종군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앙금으로 인해 안철수 전 대표에게 “죄악”, “석고대죄”라는 강경비판을 쏟아냈을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그런 발언은 국민의당 앞길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뿐이라는 점에서 비판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정 상임고문도 앞으로의 발언에 좀 더 신중을 기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나저나 호남에서 기득권을 누리고 있는 국민의당 소속 동교동계 원로들이 바른정당과의 통합으로 전국정당화를 모색하고 있는 당 지도부의 발목을 잡고 말았으니 국민의당 앞길이 걱정이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거대한 양대 패권정당에 맞서 ‘제3당’이 하나로 결집해도 힘겨운 판인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으로 나뉘어져 있으니 이를 어찌하면 좋은가.
대선패배를 교훈삼아 같은 과오를 되풀이 하지 않아야 하는 데 똑 같은 패배가 반복될까봐 걱정이다.
![]() |
정대철 국민의당 상임고문이 25일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안철수 전 대표의 당권 도전설에 대해 “죄악”이라고 규정하며 맹비난하고 나섰다.
정 고문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국민적 정서를 봐서는 패배, 그것도 3등까지 한 후보는 국민들한테 죄악"이라며 당권에 도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안 전 대표는)석고대죄하고 '아이고, 국민들 죄송합니다. 이긴다고까지 한 사람이 졌습니다'하고 반성하고 다시 충전을 해서 정치를 하거나 아니면 정치를 못하거나 이런 자세가 국민들한테 맞다”고 지적했다.
물론 안철수 전 대표가 당권에 도전한다면, 그건 ‘제2의 홍준표’가 되겠다는 것으로 비판받아 마땅하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전 경남지사는 대선패배이후 당 지도부에 대해선 사퇴론을 제기하면서도 정작 선거패배의 가장 책임이 큰 후보였던 자신은 당권도전 의사를 공공연히 밝히고 있어 당 안팎으로부터 손가락질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만일 안 전 대표가 대선패배 책임을 지고 박지원 대표 등 지도부가 총 사퇴했는데, 그 자리를 탐내고 후보였던 자신이 당대표 후보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에 나간다면, 홍준표 전 지사와 다를 게 없다.
그런데 안 전 대표는 추호도 그럴 생각이 없다.
실제 안 전 대표의 한 측근은 이날 ‘8월 전대 출마설’에 대해 “지금은 나설 때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러면 ‘안철수 당권도전설’은 왜 불거져 나온 것일까?
아마도 문병호 전 최고위원이 “안철수 전 대표가 일선에 복귀해 당의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며 “전당대회 출마를 검토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 화근인 것 같다.
물론 문 전 최고위원의 절박한 심정을 이해 못하는 바가 아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인천시장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는 그로서는 ‘호남딜레마’를 극복하지 않으면 당장 내년 지방선거가 어려워 질 것이라고 판단에 따라 안 전 대표가 당의 전면에 나서는 게 좋다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안 전 대표에게 ‘제2의 홍준표’가 되라고 요구하는 건 너무 가혹하다. 그것은 ‘제3당’의 길을 걸어가야 할 국민의당 앞길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문 전 최고위원은 앞으로 발언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대철 상임고문의 발언은 너무 지나치다.
당의 어른으로서 안 전 대표가 8월 전대에 출마할 의사가 없음에도 출마를 가정해 “죄악”이라고 단죄한 것이 과연 올바른 처신이겠는가.
혹시 자신이 안철수계의 반대로 비상대책위원장이 되지 못한 것에 대한 화풀이라면 그것은 더더욱 옳지 않다.
그런데 그럴 가능성이 농후한 게 사실이다.
국민의당 소속 동교동계 원로 그룹은 당장은 아니지만 향후 더불어민주당에 합류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정대철 상임고문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하라는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집단적으로 탈당하겠다며 협박 아닌 협박을 해왔다.
그런데 이를 제지한 게 바로 안철수계 현역의원들이다.
결국 동교동계 원로들이 정대철 고문의 비대위원장 추대 결정을 접었고, 정 고문도 백의종군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앙금으로 인해 안철수 전 대표에게 “죄악”, “석고대죄”라는 강경비판을 쏟아냈을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그런 발언은 국민의당 앞길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뿐이라는 점에서 비판을 면키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정 상임고문도 앞으로의 발언에 좀 더 신중을 기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나저나 호남에서 기득권을 누리고 있는 국민의당 소속 동교동계 원로들이 바른정당과의 통합으로 전국정당화를 모색하고 있는 당 지도부의 발목을 잡고 말았으니 국민의당 앞길이 걱정이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거대한 양대 패권정당에 맞서 ‘제3당’이 하나로 결집해도 힘겨운 판인데,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으로 나뉘어져 있으니 이를 어찌하면 좋은가.
대선패배를 교훈삼아 같은 과오를 되풀이 하지 않아야 하는 데 똑 같은 패배가 반복될까봐 걱정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