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음식점 97곳 위생점검
위생 취급기준 위반 29건 적발
[시민일보=여영준 기자]서울시가 최근 점검반 24개팀을 통해 야식·배달전문 음식점 97곳의 위생을 점검한 결과 29곳(29.8%)을 적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앞서 시는 업소들을 대상으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사용 ▲조리장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위생모 미착용 ▲건강진단 미필 등 청결 상태와 개인위생관리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유통기한인 20일 지난 소시지를 사용하는 등의 행위에 대해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2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3건 ▲건강진단미필 18건 등 총 29건을 적발됐다.
이에 시는 2곳은 영업정지, 2곳은 시정·시설개수 명령, 25곳은 과태료 부과 등을 관할 자치구에 의뢰했다.
시는 “배달 음식의 특성상 음식 재료의 품질과 조리 환경을 알 수 없고, 때 이른 무더위로 식중독 위험이 커짐에 따라 점검을 벌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21명과 자치구 공무원 59명 등 총 80명이 참여했다.
위생 취급기준 위반 29건 적발
[시민일보=여영준 기자]서울시가 최근 점검반 24개팀을 통해 야식·배달전문 음식점 97곳의 위생을 점검한 결과 29곳(29.8%)을 적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앞서 시는 업소들을 대상으로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사용 ▲조리장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위생모 미착용 ▲건강진단 미필 등 청결 상태와 개인위생관리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유통기한인 20일 지난 소시지를 사용하는 등의 행위에 대해 ▲유통기한 경과제품 보관 2건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 3건 ▲건강진단미필 18건 등 총 29건을 적발됐다.
이에 시는 2곳은 영업정지, 2곳은 시정·시설개수 명령, 25곳은 과태료 부과 등을 관할 자치구에 의뢰했다.
시는 “배달 음식의 특성상 음식 재료의 품질과 조리 환경을 알 수 없고, 때 이른 무더위로 식중독 위험이 커짐에 따라 점검을 벌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는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21명과 자치구 공무원 59명 등 총 80명이 참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