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5억 · 충남도 45억 지원
보령댐 저수율 심각… ‘경계’ 단계
내달부터 인근 댐에서 대체 공급
가뭄 심화땐 93억 추가지원 검토
[시민일보=고수현 기자]경기도와 충청남도 지역에서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5월말 현재 전국의 평균 누적 강수량은 161.1㎜로 평년(292.7㎜)의 56% 수준에 그쳤으며 특히 충남지역의 경우 보령댐이 '경계' 단계에 도달해 농업용수 등 물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경기도와 충남도 등에 특별교부세 70억원을 지원하고 급수체계를 조정하는 등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4대강 보 개방 및 가뭄대책' 합동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대책을 담은 가뭄 극복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모내기 이후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경기도에 25억원, 충청남도에 45억원 등 총 70억원의 특별교부세를 이날 긴급 지원했다.
이는 강수량 부족으로 생활·공업용수를 비롯해 농업용수 등의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면서다.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전국 다목적댐의 평균 저수율은 41.3%로 평년(39.7%)보다 높아 전국적으로 큰 문제가 없지만, 충남 서부지역 8개 시·군에 관계된 보령댐이 3월 '경계' 단계에 도달해 용수 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
농업용수의 경우에도 전국 평균 저수율이 61%로 평년(75%)보다 낮고,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부지역의 가뭄 상황이 특히 심해지는 상황이다. 충북과 전남 해안 등 지역에서도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앞으로 가뭄이 심화하면 농식품부의 가뭄대책비 93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예비비 지원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6월1일 6개 보를 우선 개방할 때 농업용수를 이용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는 수위(양수제약수위)에 미치지 않도록 조절한다.
또 7월 중에 공주보-예당지 도수로에서 조기 급수를 추진하고 서산과 보령 간척지에는 염해 피해가 없도록 급수차를 동원해 희석한 물을 공급한다.
정부는 앞서 18일에도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부의 농업용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40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생활·공업용수 공급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는 6월1일부터 보령댐의 공급량 일부를 인근 댐에서 대체 공급하도록 급수체계를 조정한다.
또한 당진시에는 보령댐 대신 대청댐이 물을 공급하고, 서천군으로 공급되는 하루 1만톤 규모의 물도 보령댐이 아닌 용담댐에서 수급한다.
이는 보령댐이 지난 3월부터 '경계' 단계에 도달해 금강 도수로를 가동했음에도 저수율이 평년의 27% 수준까지 낮아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가뭄이 해소될 때까지 국무조정실의 '통합물관리 상황반'과 농식품부의 '농업가뭄대책 상황실'을 중심으로 긴밀히 협력, 가뭄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보령댐 저수율 심각… ‘경계’ 단계
내달부터 인근 댐에서 대체 공급
가뭄 심화땐 93억 추가지원 검토
![]() |
||
▲ 2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가뭄 대책회의가 열리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
5월말 현재 전국의 평균 누적 강수량은 161.1㎜로 평년(292.7㎜)의 56% 수준에 그쳤으며 특히 충남지역의 경우 보령댐이 '경계' 단계에 도달해 농업용수 등 물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경기도와 충남도 등에 특별교부세 70억원을 지원하고 급수체계를 조정하는 등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4대강 보 개방 및 가뭄대책' 합동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대책을 담은 가뭄 극복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모내기 이후 농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경기도에 25억원, 충청남도에 45억원 등 총 70억원의 특별교부세를 이날 긴급 지원했다.
이는 강수량 부족으로 생활·공업용수를 비롯해 농업용수 등의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면서다.
생활·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전국 다목적댐의 평균 저수율은 41.3%로 평년(39.7%)보다 높아 전국적으로 큰 문제가 없지만, 충남 서부지역 8개 시·군에 관계된 보령댐이 3월 '경계' 단계에 도달해 용수 공급에 차질이 예상된다.
농업용수의 경우에도 전국 평균 저수율이 61%로 평년(75%)보다 낮고,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부지역의 가뭄 상황이 특히 심해지는 상황이다. 충북과 전남 해안 등 지역에서도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앞으로 가뭄이 심화하면 농식품부의 가뭄대책비 93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예비비 지원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6월1일 6개 보를 우선 개방할 때 농업용수를 이용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는 수위(양수제약수위)에 미치지 않도록 조절한다.
또 7월 중에 공주보-예당지 도수로에서 조기 급수를 추진하고 서산과 보령 간척지에는 염해 피해가 없도록 급수차를 동원해 희석한 물을 공급한다.
정부는 앞서 18일에도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부의 농업용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40억원을 지원한 바 있다.
생활·공업용수 공급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는 6월1일부터 보령댐의 공급량 일부를 인근 댐에서 대체 공급하도록 급수체계를 조정한다.
또한 당진시에는 보령댐 대신 대청댐이 물을 공급하고, 서천군으로 공급되는 하루 1만톤 규모의 물도 보령댐이 아닌 용담댐에서 수급한다.
이는 보령댐이 지난 3월부터 '경계' 단계에 도달해 금강 도수로를 가동했음에도 저수율이 평년의 27% 수준까지 낮아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가뭄이 해소될 때까지 국무조정실의 '통합물관리 상황반'과 농식품부의 '농업가뭄대책 상황실'을 중심으로 긴밀히 협력, 가뭄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