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 서부면 대지조성 현장 토사유출 우려
폭우때 인근 주택피해 불보듯··· 주민들 분통
[홍성=장인진 기자] 충남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대지조성 사업 현장 절개지가 집중호우 발생시 토사유출로 인해 붕괴위험이 따르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요구된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홍성군은 집중호우로 인한 붕괴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위한 대응책 미흡은 물론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임목폐기물이 공사현장에 그대로 방치돼 있다.
대지조성사업이 진행 중인 임야 절개지는 우천시 토사유출로 인한 붕괴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주민들은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군이 관리감독에 손을 놓고 있는 가운데 집중호우 발생시 공사현장 아래 위치한 주택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공사 중단시 우기를 대비해 배수로를 만들어 놓아야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안전시설 설치가 전무해 집중호우 발생하면 가파른 경사를 타고 토사가 밀려 인재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토사유출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절개지엔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어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를 해야 토사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벌채 과정에서 발생한 임목폐기물 수십 톤도 현장에 방치해 도시미관을 저해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개발 현장에서 발생한 임목폐기물을 현장에 보관할 경우 천막이나 차단막으로 덮어 놓아야 도시미관 저해를 최소화 할 수 있지만 판교리 대지조성사업현장은 조치를 취하지 않고 방치해 놓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군은 위험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한 흙이 어디로 가는지 조차 모르고 있어 전형적인 탁상행정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제보자인 A씨는 "흙먼지와 안전관리 부실로 주민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감독기관인 홍성군은 먼 산만 처다 보고 있다"고 꼬집었다.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871-1번지외 2필지 2만6965㎡에 모씨가 2016년 군으로부터 개발행위 허가를 받아 오는 12월31일 완공을 목표로 대지조성사업 공사가 한창 진행 중에 있다.
서부면 판교리 대지조성사업 공사현장엔 안전 불감증이 만연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가운데 홍성군이 어떠한 조치를 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폭우때 인근 주택피해 불보듯··· 주민들 분통
[홍성=장인진 기자] 충남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대지조성 사업 현장 절개지가 집중호우 발생시 토사유출로 인해 붕괴위험이 따르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요구된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홍성군은 집중호우로 인한 붕괴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위한 대응책 미흡은 물론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임목폐기물이 공사현장에 그대로 방치돼 있다.
대지조성사업이 진행 중인 임야 절개지는 우천시 토사유출로 인한 붕괴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주민들은 안전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군이 관리감독에 손을 놓고 있는 가운데 집중호우 발생시 공사현장 아래 위치한 주택들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공사 중단시 우기를 대비해 배수로를 만들어 놓아야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안전시설 설치가 전무해 집중호우 발생하면 가파른 경사를 타고 토사가 밀려 인재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토사유출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절개지엔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어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를 해야 토사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벌채 과정에서 발생한 임목폐기물 수십 톤도 현장에 방치해 도시미관을 저해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개발 현장에서 발생한 임목폐기물을 현장에 보관할 경우 천막이나 차단막으로 덮어 놓아야 도시미관 저해를 최소화 할 수 있지만 판교리 대지조성사업현장은 조치를 취하지 않고 방치해 놓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군은 위험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한 흙이 어디로 가는지 조차 모르고 있어 전형적인 탁상행정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제보자인 A씨는 "흙먼지와 안전관리 부실로 주민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감독기관인 홍성군은 먼 산만 처다 보고 있다"고 꼬집었다.
홍성군 서부면 판교리 871-1번지외 2필지 2만6965㎡에 모씨가 2016년 군으로부터 개발행위 허가를 받아 오는 12월31일 완공을 목표로 대지조성사업 공사가 한창 진행 중에 있다.
서부면 판교리 대지조성사업 공사현장엔 안전 불감증이 만연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가운데 홍성군이 어떠한 조치를 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