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연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태경 바른정당 최고위원은 30일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정치개혁 연대를 추진하자는 합의가 있었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하 최고위원은 이날 여의도에 있는 당사에서 바른비전위원회 정책토론회 갖고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체제가 확정되고 바른정당 최고위원회가 연대 원칙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당과의 연대가 지도부의 공식입장이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내년 6.13지방선거를 앞두고 양당이 선거연대, 나아가 합당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선 두 당의 연대가 결국 ‘정책연대→선거연대→통합’으로 이어지는 ‘바른정당-국민의당 발’ 정계 개편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물론 하태경 최고위원은 “연대라고 해서 합당은 아니다”라며 “핵심 정책을 펼치는 데 있어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비전과 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합당은 가능하지 않다”고 합당 가능성을 일축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도 바른정당과의 연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양당 통합에 대해선 입을 다물고 있다. 양쪽 모두가 연대 필요성에 대해선 서로 공감하고 있지만, 합당에 대해선 손 사레를 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두 당의 규모를 생각했을 때 단독으로 거대한 집권당과 제1야당에 맞서 6.13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기대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연대’가 ‘합당’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특히 두 당 내부의 상황을 들여다볼 때, 그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
우선 국민의당을 살펴보자.
친안파와 호남파의 해묵은 갈등이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지난 8.27 전당대회를 거치면서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국민의당은 이 같은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이날 사무총장에 재선의 김관영 의원을 임명하고, 정책위의장과 수석대변인에는 각각 이용호·손금주 의원을 유임하는 등 당직 인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오전에는 당내 화합을 위해 경기 양평군 코바코연수원에서 '2017 정기국회 대비 국회의원 워크숍'을 개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결속 다지기 행보에도 '허니문' 기간이 끝나면 친안파와 호남파의 갈등이 재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다른 정당과의 연대나 통합 문제 등을 놓고 잡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친안파는 연대 대상으로 바른정당을 선호하는 반면, 호남파는 더불어민주당을 선호하고 있는 탓이다. 이에 따라 연대논의 과정에서 양측의 갈등이 격화돼 결국 일부가 민주당으로 들어가고, 나머지 세력은 바른정당과 합당하게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바른정당의 내부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소속 의원 20명으로 몸집은 크지 않음에도 ‘한 지붕 세 가족’이라는 소리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자유한국당으로의 복귀를 기대하는 친한국당파와 국민의당과의 연대를 추진하는 친국민의당파, 그리고 이혜훈 대표와 유승민 의원처럼 독자노선을 고집하는 ‘자강론파’가 뒤섞여 있는 탓이다.
당내 의원 상당수는 ‘자강론’에 회의적이다. 겉으로는 이구동성으로 자강을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합론자들이 15명 안팎에 이른다는 분석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제1야당인 한국당은 통합 또는 연대를 공론화하며 노골적으로 바른정당을 흔들고 있다.
비록 자강론파와 친국민의당파가 한국당과의 통합을 적극반대하고 있지만, 친한국당파의 이탈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현역 의원 가운데 단 한명만이라도 이탈할 경우, 바른정당은 원내교섭단체의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바른정당의 친국민의당파는 생존을 위해서라도 국민의당 친안파와 통합수순을 밟게 될 것이다.
즉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모두 합당에 대해선 선을 긋고 있지만, 당내 분열로 인해 결국 합당을 선택하게 될 것이란 뜻이다.
어쩌면 그렇게 만들어진 정당이 ‘제3지대 정당’의 중심이 되어 거대양당을 견제하는 효자 노릇을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