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년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본격적으로 정책연대를 추진함에 따라 ‘제3지대발(發)’ 정계개편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두 당의 정책연대가 선거연대로 이어지고 결국 거대한 집권당과 제1야당을 견제하기 위해 통합수순을 밟게 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사실 이는 실현 불가능한 이야기가 아니다.
우선 국민의당 의원 중에서 바른정당과 지방선거연대가 가능하다고 보는 의원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심지어 통합까지 가능하다고 답한 의원도 5명이나 됐다.
이는 헤럴드경제가 지난 28일 국민의당 국회의원 40명 모두를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진행한 결과다.
실제 응답한 39명의 의원 중 16명이 ‘바른정당과 선거연대까지 가능’하다고 답했으며, 5명은 아예 선거연대를 넘어 통합까지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선거연대ㆍ통합까지 가능하다고 답한 의원이 39명 중 21명으로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셈이다.
특히 호남 중진 의원 10명 중 5명도 바른정당과의 선거연대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으로 3선 이상의 호남중진 의원들은 바른정당과의 연대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 이번에 확인된 셈이다.
아직 지방선거가 10개월가량 남은 시점임을 감안할 때, 바른정당과 선거연대나 통합에 긍정적인 의원 수가 절반이 넘는다는 건 그만큼 국민의당 의원들이 느끼는 위기의식이 심각하다는 뜻일 게다.
실제 호남의 한 중진 의원은 “개인적으로 바른정당과 통합까지 갔으면 좋겠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고, 선거연대까지는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또 초선 의원은 “국민의당, 바른정당 합쳐서 의석수로 삼분지계 해야한다”며 “가급적 선거전 통합해야 하지만 그게 안 되면, 선거 후라도 통합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다른 의원 역시 “의원들의 지역구가 중복되지 않고, 외연확대를 위해서도 좋다”며 “정책 같은 것은 우리와 맞기 때문에 통합까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물론 “바른정당과는 정체성이 다르다”며 정책연대도 불가하다는 완강한 의원들도 있지만, 그런 의견은 소수에 불과했다.
그러면 바른정당 의원들의 생각은 어떤가?
정책연대를 넘어 내년 지방선거에서의 선거연대를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높은 지지율을 기록중인 더불어민주당에 대항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독자적으로 지방선거에 나설 경우 필패라는 것이다.
실제 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이종구 의원은 "지금 국민의당과 우리는 정책적으로 크게 다를 게 없다"며 "지방선거 때는 서로가 연대하고 단일화를 모색해야 한다. 정치인이 지는 것을 알면서 가만히 있는 것은 무책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운천 최고위원도 “정말 선거연대를 할 수 있는 만큼 국민의 뜻이 모아진다면 그때는 가능성은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바른정당 소속 남경필 경기도지사 역시 "경기도에서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이 연대를 해 '국민바른연합'이라는 교섭단체를 만들었다"며 선거연대 가능성에 힘을 보탰다.
물론 이혜훈 대표가 최근 "어떤 분들이 통합 어쩌고 얘기하는데, 귓등으로도 듣지 마라"며 통합론에 선을 긋고 자강론을 되풀이하고 있지만, 그런 의견은 20명의 의원 중 5명 안팎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약 15명가량이 통합파라는 것이다. 김영우 최고위원도 "아무래도 자강에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현재 두 당이 공식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책연대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둘 경우, 그 성과를 바탕으로 선거연대나 양당통합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누가 양당 통합의 구심점이 되느냐 하는 게 문제다. 양쪽 모두 권력욕에 눈이 멀어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통합을 추진할 경우, 그것은 국민이 바라는 모습도 아니거니와 성사되기도 어렵다. 거대양당이 적대적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양당체제로 회귀해서는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을 담아 양쪽 모두 기득권을 내려놓겠다는 각오로 일을 추진해야 한다. 그러자면 통합 전당대회를 실시하기 보다는 먼저 안철수 대표와 이혜훈 대표가 머리를 맞대고, 존경받는 정치인을 통합정당 대표로 추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그에 앞서 양당 지도부와 소속의원들이 모두 인정할만한 정치인에게 통합추진위원장을 맡기는 방안을 모색하는 건 어떨까?
당장 ‘통합’이라는 명칭을 다는 게 부담이라면, 양당 합의에 의해 ‘정책연대 추진위원장’이라는 명칭을 붙이는 것도 괜찮을 듯싶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