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 “야외활동시 긴 옷 착용을”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질병관리본부가 가을철 추수와 벌초, 성묘, 등산 등에 따른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만큼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14일 질본에 따르면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의 환자 및 사망자가 8월 말 기준으로 전년대비 각각 121%, 244%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SFTS 환자는 ▲2013년, 36명 ▲2014년, 55명 ▲2015년, 79명 ▲2016년, 165명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올해는 지난 8월31일 현재 13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SFTS 사망자 수는 ▲2013년, 17명 ▲2014년, 16명 ▲2015년, 21명 ▲2016년, 19명이었으며, 올해의 경우 현재 31명이 숨진 바 있다.
질본측은 SFTS 관련 질환은 참진드기 활동이 활발한 4~11월 주로 환자가 발생하고, 매개 진드기에 물린 뒤 1~2주 이내 고열·구토·설사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백혈구·혈소판이 감소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해당 질환은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며, 증상에 따라 처치하는 대증요법으로 치료하는 전부이기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질환 중 ‘쯔쯔가무시증’은 활순털진드기 유충기 왕성하게 활동하는 9월 말~11월 말 90% 이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1~3주 잠복기 이후 고열·오한·근육통·발진·가피(검은 딱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항생제로 치료하고 있다.
질본 관계자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농작업이나 야외활동을 할 때는 긴 옷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말아야 한다”며 “귀가한 뒤에는 즉시 샤워·세탁을 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열·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 등이 생기면 즉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
14일 질본에 따르면 작은소피참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의 환자 및 사망자가 8월 말 기준으로 전년대비 각각 121%, 244%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SFTS 환자는 ▲2013년, 36명 ▲2014년, 55명 ▲2015년, 79명 ▲2016년, 165명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올해는 지난 8월31일 현재 13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SFTS 사망자 수는 ▲2013년, 17명 ▲2014년, 16명 ▲2015년, 21명 ▲2016년, 19명이었으며, 올해의 경우 현재 31명이 숨진 바 있다.
질본측은 SFTS 관련 질환은 참진드기 활동이 활발한 4~11월 주로 환자가 발생하고, 매개 진드기에 물린 뒤 1~2주 이내 고열·구토·설사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백혈구·혈소판이 감소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해당 질환은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며, 증상에 따라 처치하는 대증요법으로 치료하는 전부이기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질환 중 ‘쯔쯔가무시증’은 활순털진드기 유충기 왕성하게 활동하는 9월 말~11월 말 90% 이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1~3주 잠복기 이후 고열·오한·근육통·발진·가피(검은 딱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항생제로 치료하고 있다.
질본 관계자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농작업이나 야외활동을 할 때는 긴 옷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말아야 한다”며 “귀가한 뒤에는 즉시 샤워·세탁을 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열·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나 가피 등이 생기면 즉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