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용원 기자] 경기 광주시 남부 무한돌봄 행복나눔센터가 21일 민간단체와 협력해 '저장강박증'으로 고통받는 위기가구의 주거환경을 개선했다.
저장강박증은 각종 고물 및 폐품 등을 버리지 못하는 강박장애의 일종이다.
센터는 이날 장애인 A씨의 자택에서 한전 광주지사 검침부, 광주 스마일봉사단, (주)클린광주, 오포읍 행정복지센터와 연계해 주거환경 개선사업인 ‘행복 나눔 하우스’를 추진했다고 21일 밝혔다.
A씨는 저장강박증으로 인해 고물과 폐품 및 온갖 쓰레기를 집안에 모아두고 생활해 비위생적인 주거환경뿐만 아니라 주변 주민들의 관련 민원이 계속 제기된 상태이다.
이에 센터는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아 총 40여명의 인원을 투입해 대대적인 분리수거와 쓰레기 처리, 내부청소, 방역활동 등을 통해 깨끗한 주거환경을 되찾았다.
센터 관계자는 “이번 행복나눔 하우스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자원 연계의 중요성을 일깨울 수 있었다”며 “A씨에 대해서는 향후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의료비 지원 등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장강박증은 각종 고물 및 폐품 등을 버리지 못하는 강박장애의 일종이다.
센터는 이날 장애인 A씨의 자택에서 한전 광주지사 검침부, 광주 스마일봉사단, (주)클린광주, 오포읍 행정복지센터와 연계해 주거환경 개선사업인 ‘행복 나눔 하우스’를 추진했다고 21일 밝혔다.
A씨는 저장강박증으로 인해 고물과 폐품 및 온갖 쓰레기를 집안에 모아두고 생활해 비위생적인 주거환경뿐만 아니라 주변 주민들의 관련 민원이 계속 제기된 상태이다.
이에 센터는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아 총 40여명의 인원을 투입해 대대적인 분리수거와 쓰레기 처리, 내부청소, 방역활동 등을 통해 깨끗한 주거환경을 되찾았다.
센터 관계자는 “이번 행복나눔 하우스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자원 연계의 중요성을 일깨울 수 있었다”며 “A씨에 대해서는 향후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의료비 지원 등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