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건강보험통계 기준
노인진료비도 평균 400만원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지난해 암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이 전년비 6.3% 증가했으며, 암 환자가 쓴 진료비는 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노인진료비는 1인 평균 400만원에 육박했다. 국가 전체로는 25조2692억원을 지출했는데 이는 2009년보다 2배 늘어난 수치다.
세부적으로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동 발간한 ‘2016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악생신생물(암)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143만5000명으로 전년 135만명보다 증가했다.
아울러 이들 환자가 쓴 진료비는 5조9247억원으로 2015년 5조1743억원보다 14.8% 증가했으며, 암 환자의 진료비는 2009~2016년 연평균 8.4%씩 늘어났다.
또 지난해 암으로 새로 중증환자 등록을 한 사람은 27만8175명이었고, 이들이 쓴 진료비는 2조7100억원이었다. 2009~2016년 중증환자로 등록한 암 환자는 186만2532명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진료비는 25조2692억원으로, 전년 22조2673억원보다 13.5% 증가했다.
노인진료비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2년(8%) ▲2013년(9%) ▲2014년(10.4%) ▲2015년(11.4%)로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 진료 인원이 가장 많은 질병은 ▲본태성(원발성)고혈압(251만3000명) ▲치은염 및 치주질환(222만8000명) ▲급성기관지염(193만3000명) 순이었다.
지난해 건강보험 부과액은 47조5931억원으로 전년보다 7.4% 상승했다. 직장보험료는 39조9446억원, 지역보험료는 7조5485억원, 가구당 보험료는 월평균 9만8128원이었다. 직장가입자는 10만4507원, 지역가입자는 8만4531원이었다.
지난해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명이 낸 연간보험료는 93만9996원이었으며, 연간 치료비로 나간 보험 급여비는 99만5936원으로 보험료 대비 급여비 혜택률은 1.06배였다.
이와 관련, 건강보험에 가입해 의료비 혜택을 받는 건강보험 적용인구는 5076만명이었고, 이 중 직장 적용인구는 3668만명(72.2%), 지역적용인구는 1410만명(27.8%)이었다.
지난해 건강보험에서 지출된 진료비는 11.4% 증가한 64조5768억원이었다. 1인당 진료비가 500만원을 초과한 고액환자는 197만명으로, 전체 진료인원 중 4.1% 차지했으나, 전체 진료비 중 점유율은 41.2% 육박했다.
지난해 고혈압·당뇨병 등 12개 만성질환으로 진료 받은 사람은 1679만명으로, 이 가운데 환자 증가가 많았던 질병은 ▲만성진장병(10.5%) ▲간 질환(7.4%) ▲당뇨병(7.1%) ▲악성신생물(6.3%) 순 이었다.
한편 의료기관과 약국 등 전체 요양기관의 숫자는 8만9919개로 2% 증가했고, 요양기관 근무 인력은 35만5535명으로 8% 늘었다.
인력 규모는 ▲간호사 17만9989명(50.6%) ▲의사 9만7713명(27.5%) ▲약사 3만3946명(9.5%) 순이었다.
노인진료비도 평균 400만원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지난해 암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이 전년비 6.3% 증가했으며, 암 환자가 쓴 진료비는 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노인진료비는 1인 평균 400만원에 육박했다. 국가 전체로는 25조2692억원을 지출했는데 이는 2009년보다 2배 늘어난 수치다.
세부적으로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동 발간한 ‘2016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악생신생물(암)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143만5000명으로 전년 135만명보다 증가했다.
아울러 이들 환자가 쓴 진료비는 5조9247억원으로 2015년 5조1743억원보다 14.8% 증가했으며, 암 환자의 진료비는 2009~2016년 연평균 8.4%씩 늘어났다.
또 지난해 암으로 새로 중증환자 등록을 한 사람은 27만8175명이었고, 이들이 쓴 진료비는 2조7100억원이었다. 2009~2016년 중증환자로 등록한 암 환자는 186만2532명이다.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진료비는 25조2692억원으로, 전년 22조2673억원보다 13.5% 증가했다.
노인진료비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12년(8%) ▲2013년(9%) ▲2014년(10.4%) ▲2015년(11.4%)로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 진료 인원이 가장 많은 질병은 ▲본태성(원발성)고혈압(251만3000명) ▲치은염 및 치주질환(222만8000명) ▲급성기관지염(193만3000명) 순이었다.
지난해 건강보험 부과액은 47조5931억원으로 전년보다 7.4% 상승했다. 직장보험료는 39조9446억원, 지역보험료는 7조5485억원, 가구당 보험료는 월평균 9만8128원이었다. 직장가입자는 10만4507원, 지역가입자는 8만4531원이었다.
지난해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1명이 낸 연간보험료는 93만9996원이었으며, 연간 치료비로 나간 보험 급여비는 99만5936원으로 보험료 대비 급여비 혜택률은 1.06배였다.
이와 관련, 건강보험에 가입해 의료비 혜택을 받는 건강보험 적용인구는 5076만명이었고, 이 중 직장 적용인구는 3668만명(72.2%), 지역적용인구는 1410만명(27.8%)이었다.
지난해 건강보험에서 지출된 진료비는 11.4% 증가한 64조5768억원이었다. 1인당 진료비가 500만원을 초과한 고액환자는 197만명으로, 전체 진료인원 중 4.1% 차지했으나, 전체 진료비 중 점유율은 41.2% 육박했다.
지난해 고혈압·당뇨병 등 12개 만성질환으로 진료 받은 사람은 1679만명으로, 이 가운데 환자 증가가 많았던 질병은 ▲만성진장병(10.5%) ▲간 질환(7.4%) ▲당뇨병(7.1%) ▲악성신생물(6.3%) 순 이었다.
한편 의료기관과 약국 등 전체 요양기관의 숫자는 8만9919개로 2% 증가했고, 요양기관 근무 인력은 35만5535명으로 8% 늘었다.
인력 규모는 ▲간호사 17만9989명(50.6%) ▲의사 9만7713명(27.5%) ▲약사 3만3946명(9.5%) 순이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