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형준 교수 “타워크레인 관련 정부대책 안전사고 막는데 도움 안돼”

    사건/사고 / 이진원 / 2017-12-11 17:08:36
    • 카카오톡 보내기
    ▲ 안형준 교수
    [시민일보=이진원 기자]경기 용인시의 한 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의 타워크레인 관련 대책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초고층도시건축학회 연구원장인 안형준 건국대 교수는 11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정부 대책은 처벌 위주의 대책이지, 안전사고를 막는 근원적인 대책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어느 현장이건 사고를 원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왜 사고가 일어나는지는 그 원인을 파악해야 하고 거기에는 사고를 막기 위한 어떤 건설 규율이 필요하고 어떤 장비가 필요한지를 파악하고 그것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지, 사고가 났을 때 공사 중지시키겠다, 영업정지 시키겠다는 건 안전사고를 막는 데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고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데, 장비의 노후가 됐다면 노후화된 장비는 현장에 반입하지 않는 조치가 필요하고, 요즘 교육받지 못한 기술자들이 상당히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데, 자격이라든지 경험이 부족한 기술자들이 있다면 사전에 현장 투입되는 걸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또 작업 중 타워크레인 기사와 신호수에 문제가 있다면 그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며 “타워크레인 기사와 신호수하고의 신호체계가 안전사고를 막는데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타워크레인 기사와 신호수하고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있어야 하는데, 요즘에는 인건비 절감을 이유로 서로 소통이 안 되는 중국이 신호수를 현장에 투입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인이 한국어를 신호수하고 아주 원활하게, 세밀한 것까지 할 수 있다면 중국인이 아니라 어떤 사람이든 가능하지만 우리는 중국인이라면 내국인보다는 의사소통은 미흡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이번에 사고도 현장에는 안전관리 책임자가 있는데 현장소장이 자리를 비운 상태에서 사고가 난 걸로 알고 있다”며 “그럼 현장소장과 신호수하고의 소속 회사는 다르지만 건설 현장에서 작업이 시작될 때는 매일매일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