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당 박지원 전 대표가 안철수 대표의 ‘백의종군’ 선언을 “쇼”로 치부했다.
박 전 대표는 25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합당 후 대표직을 사퇴하겠다는 것은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것"이라며 안 대표가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와 함께 통합신당의 공동대표가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박 전 대표는 “유승민 대표가 당 대표를 맡고 안 대표가 서울시장 후보에 나간다는 얘기가 있는데 안 대표는 서울시장 선거에 나가도 당선이 안 된다”며 “안 대표는 '서울시장감'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국 유승민 대표가 공동대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못 이기는 척 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전 대표는 안철수 대표에게 "대통령병에 걸려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한마디로 안 대표가 대통령병에 걸려 있기 때문에 바른정당에서 제기하는 ‘공동대표론’을 마지못해 수용하는 것처럼 “쇼”를 하면서 백의종군 약속을 내팽개치고 통합정당의 공동대표가 될 것이란 뜻이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정치생명을 그런 쇼로 연명해온 박지원 전 대표의 생각일 뿐, 실제로 안 대표가 그런 ‘꼼수’를 부릴 것 같지는 않다.
물론 통합정당을 장악하고 싶어 하는 바른정당 측에선 지속적으로 안 대표에게 백의종군 철회를 요구하고 나설 것이다. 그래야 유승민 대표를 ‘공동대표’라는 명분으로 통합정당의 간판으로 내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통합 추진 상황에서 안 대표와 유 대표는 공동 운명체나 마찬가지다. 안 대표가 백의종군을 선언한 마당에 유 대표 혼자 당 대표가 되겠다고 고집 부렸다가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안 대표가 최근 “나는 백의종군을 이야기 했다”며 철회할 뜻이 없음을 거듭 밝혔음에도 유 대표가 “책임”운운하며 당 대표가 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가 국민의당 장진영 최고위원으로부터 따끔한 질책을 받기도 했다. 결국 유 대표도 “통합신당 대표 자리에 욕심이 없다”며 한발 물러설 수 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유 대표가 완전히 당권에 대한 욕심을 버린 것은 아니다.
바른정당에서 지속적으로 ‘공동대표론’을 제기하는 건 유 대표의 당권 욕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백의종군’ 약속을 이행하겠다는 안 대표의 입장은 전혀 흔들림이 없다. 다급해진 바른정당은 ‘지방선거후 안철수·유승민 2선 후퇴’라는 새로운 꼼수를 제시했다.
실제 통합 논의에서 바른정당 측 교섭 창구 역할을 담당해온 오신환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이날 한 방송에 출연, "안·유 대표가 함께 지방선거를 치러내고 지방선거 이후에 2선 후퇴 한다는 조건이라면 충분히 새로운 모습으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박지원 전 대표가 예상한대로 유승민 대표의 공동제안을 못이기는 척 수용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안 대표 입장에선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바른정당은 이제 안철수 대표에게 백의종군 약속을 철회하라는 철부지 같은 요구를 당장 중지하고, 오히려 원만한 통합을 위해 유승민 대표에게 ‘2선 동반후퇴’를 선언하라고 압력을 가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통합되더라도 지방선거에서 패배하면, 안철수 대표나 유승민 대표 모두 정치 앞날을 기약할 수 없게 된다. 설사 두 사람이 당 대표가 되어 당권을 거머쥐고 있다고 해도 지방선거에 완패하면, 당장 ‘책임론’이 불거질 것이고 그로인해 정계은퇴를 선언해야 하는 극단적인 상황까지 내몰릴지도 모른다.
따라서 유 대표도 안 대표처럼 대표직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지방선거의 승리를 위해 기꺼이 자신을 내던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어제 이미 본란 칼럼을 통해 ‘지방선거 승리 비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안 대표가 서울시장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은데, 그 수가 절묘한 ‘신의 한수’가 될지도 모른다. 박지원 전 대표는 안 대표를 ‘서울시장 감이 아니다’라고 단정하지만, 필자의 생각은 다르다. 인물 면에선 그 어떤 정당의 예비후보들보다도 앞선다. 다만 통합정당의 낮은 지지율이 문제다. 물론 통합하면 당장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겠지만 현실적으로 집권당 지지율이 너무 높아 그 격차를 인물론으로 돌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 한계를 극복하자면 국민의 시선을 사로잡는 이벤트가 필요하다. 그게 뭘까?
안 대표와 유 대표가 서울시장 후보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선을 벌이는 것이다. 그 경선은 흥행에 성공할 것이고, 결과적으로 통합신당 열풍을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데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차기 대통령 선거는 다음 지방선거 실시 시기와 불과 2개월 차이여서 중도하차에 대한 부담 없이 대선도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두 사람에게도 결코 손해가 아니다. 다당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안철수, 유승민 대표 모두 진지하게 검토해 주기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