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하승
북한 응원단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첫 경기에서 남성 얼굴의 가면을 꺼내 응원한 것을 두고 김일성 사진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11일 '보도 해명' 자료를 통해 "'김일성 가면 쓰고 응원하는 북한응원단' 제하 보도는 잘못된 추정"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현장에 있는 북측 관계자 확인 결과, 보도에서 추정한 그런 의미는 전혀 없으며 북측 스스로가 그런 식으로 절대 표현할 수 없다고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일부는 북한 응원단의 가면은 '미남 가면'이라고 주장했다.
통일부는 "미남 가면은 휘파람 노래를 할 때 남자 역할 대용으로 사용됐다고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누리꾼들 사이에선 “척~ 봐도 ‘김일성 가면’ 맞구먼...”이라며, 오히려 통일부의 해명을 비판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다.
문제의 가면은 북한 응원단이 전날 강릉 관동하키센터에서 열린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경기 직전 꺼내 들고 얼굴을 가린 응원 소품으로, 젊은 남성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이에 대해 하태경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일성의 젊은 날 사진과 북한 응원단의 가면을 나란히 올려놓고 “북한 응원단이 김일성 가면을 들어 난처해지니 통일부가 김일성이 아니라고 방어해 준다”며 “젊은 김일성 사진을 보고도 김일성이 아니라고 할 건가. 헤어스타일까지 똑같다”고 반박했다.
이어 “응원 가면이 김일성이 아니라고 우기는 분들 마음은 이해한다”며 “하지만 팩트는 팩트대로 인정하고 올림픽 분위기를 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김일성 가면이 명확한데 그에 대해 아니라고 거짓말까지 해야 하느냐”며 “평창올림픽을 거짓말 올림픽으로 만들고 싶으신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진실을 억압하면 올림픽 분위기는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평창올림픽은 평화올림픽이자 진실 올림픽이 되어야 한다. 진실이 드러났는데 어떻게 침묵하고만 있느냐”고 날을 세웠다.
그러자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에서 최고 존엄으로 여겨지는 김일성 주석의 얼굴을 응원 도구로 사용한다는 것은 북한 체제와 문화를 감안하면 절대 불가능한 일”이라며 “여전히 볼썽사나운 트집 잡기와 색깔론으로 응수하는 야당의 행태”라고 반발했다.
이어 “통일부가 김일성 가면이 아니라는 것을 북한 응원단에 직접 확인했다고 밝혔는데도, 야당 의원과 일부 언론이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누리꾼들은 여전히 의혹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실제 누리꾼들은 "김일성이 아니라면 굳이 응원에 가면을 사용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김일성이 아니라면 누구라고 밝혀라" 등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한 누리꾼은 다른 경기에서는 가면이 없다가 유독 김여정이 있는 곳에서만 가면을 썼다는 사실을 들면서 ‘김일성 가면’이 맞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선전물 수준"이라거나 "평화는 좋은데 도는 넘지 말아야", "김일성 가면 아니고 '김일성 미화 가면'인 듯" 등 못 믿겠다는 반응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물론 ‘김일성 가면’이 등장했다고 해서 그것을 ‘평창올림픽’이 아닌 ‘평양올림픽’이라고 비난하거나 모처럼 무르익어 가는 남북평화모드에 찬물을 끼얹을 생각은 없다. 다만 누가 봐도 ‘김일성 가면’이 분명한 만큼, 하태경 의원의 지적처럼 팩트는 팩트대로 인정하고 북 측에 정식으로 사과를 요청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더구나 김여정은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날 청와대 회동에서 "빠른 시일 내에 평양에서 뵈었으면 좋겠다"라며 김정은의 의사를 전달한 마당이다.
실제 김여정은 “문 대통령께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님을 만나서 많은 문제에 대해 의사를 교환하면 어제가 옛날인 것처럼 빠르게 북남관계가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통령께서 통일의 새장을 여는 주역이 되셔서 후세에 길이 남을 자취를 세우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이렇게 가까운 거리인데 오기가 힘드니 안타깝다"며 "한 달 하고도 조금 지났는데 과거 몇 년에 비해 북남관계가 빨리 진행되지 않았나. 북남 수뇌부의 의지가 있다면 분단 세월이 아쉽고 아깝지만 빨리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남북정상회담을 제의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정부 당국은 북한의 이런 제의가 진정성이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김일성 가면’의 진실을 감출 것이 아니라, 정식으로 사과를 요청하고 북의 태도를 살필 필요가 있지 않겠는가.
혹시라도 북한의 이런 제의가 진실성이 없는 ‘거짓’이라는 걸 빤히 알면서도 ‘남북정상회담’이라는 성과에 집착하느라 북한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 |
북한 응원단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첫 경기에서 남성 얼굴의 가면을 꺼내 응원한 것을 두고 김일성 사진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11일 '보도 해명' 자료를 통해 "'김일성 가면 쓰고 응원하는 북한응원단' 제하 보도는 잘못된 추정"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현장에 있는 북측 관계자 확인 결과, 보도에서 추정한 그런 의미는 전혀 없으며 북측 스스로가 그런 식으로 절대 표현할 수 없다고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일부는 북한 응원단의 가면은 '미남 가면'이라고 주장했다.
통일부는 "미남 가면은 휘파람 노래를 할 때 남자 역할 대용으로 사용됐다고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누리꾼들 사이에선 “척~ 봐도 ‘김일성 가면’ 맞구먼...”이라며, 오히려 통일부의 해명을 비판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다.
문제의 가면은 북한 응원단이 전날 강릉 관동하키센터에서 열린 여자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경기 직전 꺼내 들고 얼굴을 가린 응원 소품으로, 젊은 남성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이에 대해 하태경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일성의 젊은 날 사진과 북한 응원단의 가면을 나란히 올려놓고 “북한 응원단이 김일성 가면을 들어 난처해지니 통일부가 김일성이 아니라고 방어해 준다”며 “젊은 김일성 사진을 보고도 김일성이 아니라고 할 건가. 헤어스타일까지 똑같다”고 반박했다.
이어 “응원 가면이 김일성이 아니라고 우기는 분들 마음은 이해한다”며 “하지만 팩트는 팩트대로 인정하고 올림픽 분위기를 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김일성 가면이 명확한데 그에 대해 아니라고 거짓말까지 해야 하느냐”며 “평창올림픽을 거짓말 올림픽으로 만들고 싶으신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진실을 억압하면 올림픽 분위기는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평창올림픽은 평화올림픽이자 진실 올림픽이 되어야 한다. 진실이 드러났는데 어떻게 침묵하고만 있느냐”고 날을 세웠다.
그러자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에서 최고 존엄으로 여겨지는 김일성 주석의 얼굴을 응원 도구로 사용한다는 것은 북한 체제와 문화를 감안하면 절대 불가능한 일”이라며 “여전히 볼썽사나운 트집 잡기와 색깔론으로 응수하는 야당의 행태”라고 반발했다.
이어 “통일부가 김일성 가면이 아니라는 것을 북한 응원단에 직접 확인했다고 밝혔는데도, 야당 의원과 일부 언론이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누리꾼들은 여전히 의혹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실제 누리꾼들은 "김일성이 아니라면 굳이 응원에 가면을 사용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김일성이 아니라면 누구라고 밝혀라" 등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한 누리꾼은 다른 경기에서는 가면이 없다가 유독 김여정이 있는 곳에서만 가면을 썼다는 사실을 들면서 ‘김일성 가면’이 맞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선전물 수준"이라거나 "평화는 좋은데 도는 넘지 말아야", "김일성 가면 아니고 '김일성 미화 가면'인 듯" 등 못 믿겠다는 반응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물론 ‘김일성 가면’이 등장했다고 해서 그것을 ‘평창올림픽’이 아닌 ‘평양올림픽’이라고 비난하거나 모처럼 무르익어 가는 남북평화모드에 찬물을 끼얹을 생각은 없다. 다만 누가 봐도 ‘김일성 가면’이 분명한 만큼, 하태경 의원의 지적처럼 팩트는 팩트대로 인정하고 북 측에 정식으로 사과를 요청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더구나 김여정은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날 청와대 회동에서 "빠른 시일 내에 평양에서 뵈었으면 좋겠다"라며 김정은의 의사를 전달한 마당이다.
실제 김여정은 “문 대통령께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님을 만나서 많은 문제에 대해 의사를 교환하면 어제가 옛날인 것처럼 빠르게 북남관계가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통령께서 통일의 새장을 여는 주역이 되셔서 후세에 길이 남을 자취를 세우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이렇게 가까운 거리인데 오기가 힘드니 안타깝다"며 "한 달 하고도 조금 지났는데 과거 몇 년에 비해 북남관계가 빨리 진행되지 않았나. 북남 수뇌부의 의지가 있다면 분단 세월이 아쉽고 아깝지만 빨리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남북정상회담을 제의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정부 당국은 북한의 이런 제의가 진정성이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김일성 가면’의 진실을 감출 것이 아니라, 정식으로 사과를 요청하고 북의 태도를 살필 필요가 있지 않겠는가.
혹시라도 북한의 이런 제의가 진실성이 없는 ‘거짓’이라는 걸 빤히 알면서도 ‘남북정상회담’이라는 성과에 집착하느라 북한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