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햇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를 보면, 둘 사이가 마치 ‘견원지간(犬猿之間)’같다는 생각이다.
실제 유 대표는 홍 대표를 겨냥, “경남 지역경제가 홍준표 꼼수 도지사 사퇴 후 계속 나빠졌다"고 비판하고, 홍 대표는 유 대표에게 ”대구에서 유 대표의 정치생명은 끝났다“고 비판하는 등 연일 치고받는 모양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둘은 너무나 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6.13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도 눈앞에 닥친 '후보 난'을 외면하고 ‘지방선거 이후’를 걱정하는 모습을 두고 하는 말이다.
우선 홍준표 대표의 경우를 살펴보자.
지금 자유한국당은 서울시장 후보 ‘구인난’이 심각하다. 홍준표 대표가 영입을 추진하던 홍정욱 헤럴드경제 회장과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 불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잠재 후보로 거론되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 마저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그러자 당내 중진의원들 일각에선 홍준표 대표가 직접 출마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튀어 나오고 있다.
실제 한 중진 의원은 "대표가 서울시장 후보로 본인이 나갈 수도 있다는 결기를 보여줘야 당내 의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되지 않겠느냐"며 "안철수 바른미래당 인재영입위원장은 당에서 필요한 것은 뭐든 다 하겠다고 하는데 홍 대표도 그런 결기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하게 압박했다.
당내 당협위원장이 모인 채팅방에서도 이 같은 주장이 일부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홍준표 대표는 그런 요청을 일축하면서 오히려 자신에게 불만을 토로하는 중진 의원들을 겨냥해 "지방선거가 끝나고 다음 총선 때는 당원과 국민의 이름으로 그들도 당을 위해 헌신하도록 강북 험지로 차출하도록 추진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러면서 "그들의 목적은 나를 출마시키면, 당이 공백이 되면 당권을 차지 할 수 있다는 음험한 계책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황당한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한마디로 자신에게 서울시장 출마를 요청하는 것은 ‘음흉한 계획’이며, 그런 사람들은 다음 총선에서 ‘험지’인 강북으로 차출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유승민 대표의 모습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바름미래당 당내에선 6ㆍ13 지방선거 출마 요구를 일축한 유승민 대표에 대한 당내 불만이 표면화되고 있다. 한 자릿수에 불과한 정당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선 당 간판인 유 대표가 지방선거에 나서야 하는데 유 대표가 이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백의종군’을 선언했던 안철수 위원장이 당의 승리를 위해 서울시장 출마의지를 굳히고 있는 데도 유승민 대표는 별다른 대안 없이 무조건 지방선거 출마에 대해선 선을 긋고 있다.
아마도 유 대표는 지방선거 이후 자신의 입지를 생각하는 듯하다. 하지만 지방선거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내지 못한다면, 바른미래당은 ‘소멸’할 수도 있다. 지방선거 이후가 아니라 당장 지금을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다.
홍준표 대표와 유승민 대표는 당의 존립을 무시한 자신의 정치생명 연장은 없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이번 지방선거에 기꺼이 ‘선당후사’ 정신으로 자신을 내던져야만 당이 지방선거 이후에도 존재할 수 있는 것이고, 그것이 향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어쩌면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홍준표 대표와 유승민 대표가 한판 승부를 걸이는 것이 보수진영에는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그 결과를 보고 국민이 ‘보수’의 맥을 이어가는 정당이 어느 정당인지를 판가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패배한 쪽은 자연스럽게 승리한 정당으로 흡수 소멸되는 과정을 밟게 될 것이다.
아무튼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운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선거다. 따라서 홍준표 대표와 유승민 대표는 당의 ‘구인난’을 외면하지 말고 당당하게 출마선언 해 주기를 바란다.
![]() |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를 보면, 둘 사이가 마치 ‘견원지간(犬猿之間)’같다는 생각이다.
실제 유 대표는 홍 대표를 겨냥, “경남 지역경제가 홍준표 꼼수 도지사 사퇴 후 계속 나빠졌다"고 비판하고, 홍 대표는 유 대표에게 ”대구에서 유 대표의 정치생명은 끝났다“고 비판하는 등 연일 치고받는 모양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둘은 너무나 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6.13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도 눈앞에 닥친 '후보 난'을 외면하고 ‘지방선거 이후’를 걱정하는 모습을 두고 하는 말이다.
우선 홍준표 대표의 경우를 살펴보자.
지금 자유한국당은 서울시장 후보 ‘구인난’이 심각하다. 홍준표 대표가 영입을 추진하던 홍정욱 헤럴드경제 회장과 이석연 전 법제처장이 불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잠재 후보로 거론되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 마저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그러자 당내 중진의원들 일각에선 홍준표 대표가 직접 출마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튀어 나오고 있다.
실제 한 중진 의원은 "대표가 서울시장 후보로 본인이 나갈 수도 있다는 결기를 보여줘야 당내 의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되지 않겠느냐"며 "안철수 바른미래당 인재영입위원장은 당에서 필요한 것은 뭐든 다 하겠다고 하는데 홍 대표도 그런 결기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하게 압박했다.
당내 당협위원장이 모인 채팅방에서도 이 같은 주장이 일부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홍준표 대표는 그런 요청을 일축하면서 오히려 자신에게 불만을 토로하는 중진 의원들을 겨냥해 "지방선거가 끝나고 다음 총선 때는 당원과 국민의 이름으로 그들도 당을 위해 헌신하도록 강북 험지로 차출하도록 추진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러면서 "그들의 목적은 나를 출마시키면, 당이 공백이 되면 당권을 차지 할 수 있다는 음험한 계책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황당한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한마디로 자신에게 서울시장 출마를 요청하는 것은 ‘음흉한 계획’이며, 그런 사람들은 다음 총선에서 ‘험지’인 강북으로 차출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유승민 대표의 모습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바름미래당 당내에선 6ㆍ13 지방선거 출마 요구를 일축한 유승민 대표에 대한 당내 불만이 표면화되고 있다. 한 자릿수에 불과한 정당 지지율을 올리기 위해선 당 간판인 유 대표가 지방선거에 나서야 하는데 유 대표가 이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백의종군’을 선언했던 안철수 위원장이 당의 승리를 위해 서울시장 출마의지를 굳히고 있는 데도 유승민 대표는 별다른 대안 없이 무조건 지방선거 출마에 대해선 선을 긋고 있다.
아마도 유 대표는 지방선거 이후 자신의 입지를 생각하는 듯하다. 하지만 지방선거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내지 못한다면, 바른미래당은 ‘소멸’할 수도 있다. 지방선거 이후가 아니라 당장 지금을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다.
홍준표 대표와 유승민 대표는 당의 존립을 무시한 자신의 정치생명 연장은 없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이번 지방선거에 기꺼이 ‘선당후사’ 정신으로 자신을 내던져야만 당이 지방선거 이후에도 존재할 수 있는 것이고, 그것이 향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어쩌면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 홍준표 대표와 유승민 대표가 한판 승부를 걸이는 것이 보수진영에는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그 결과를 보고 국민이 ‘보수’의 맥을 이어가는 정당이 어느 정당인지를 판가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패배한 쪽은 자연스럽게 승리한 정당으로 흡수 소멸되는 과정을 밟게 될 것이다.
아무튼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운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선거다. 따라서 홍준표 대표와 유승민 대표는 당의 ‘구인난’을 외면하지 말고 당당하게 출마선언 해 주기를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