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일 민주당 관계자는 “다른 당 지지자가 경선에 참여해 결과적으로 본선 경쟁력이 약한 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실제 권리당원(당비를 내는 당원)과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민주당 광역·기초단체장 후보경선에서 안심번호(가상 휴대번호)를 사용한 일반국민 대상 여론조사는 민주당 지지자와 무당층으로 한정된다.
일반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ARS 투표 진행 과정에서 다른 당 지지자라는 것이 확인되면 전화가 바로 종료되는 방식이다.
특히 권리당원 및 일반국민 대상 여론조사에서 누가 민주당 후보로 더 적합한지를 묻는 '적합도 방식'으로 진행키로 했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 지지층의 선택이 훨씬 더 중요해졌다는 관측이다 나오면서 문심잡기 경쟁도 더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서도 박영선 의원과 우상호 의원의 경우 치열한 2위 경쟁을 벌이는 와중에도 문심 잡기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현역인 박 시장에 대한 협공모드를 취하면서도 1차 경선에서 박 시장이 과반득표에 실패할 경우 결선에서 충분히 역전히 가능하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박 의원측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분들을 다양하게 만나 박 의원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면서 "박 시장의 민주당 정체성이 약하다는 점을 고려해 그 점을 파고들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우 의원은 역시 대선 당시 문 대통령을 도운 서울지역 특보단의 지지 선언을 끌어내는 한편 동료 의원들의 '내가 본 우상호' 메시지를 페이스북에 연속 게재하며 당원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한편 민주당 경선시 ARS 투표 인원은 권리당원의 경우 선거구별 전체 인원이 대상이며, 일반국민은 서울 등의 광역단체는 2000명 이상을 확보하도록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