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영섭 “드루킹, 내부고발자 지위...집권세력, 부당한 인권압박 의심”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8-04-22 13:55:24
    • 카카오톡 보내기
    “인권 보호 차원에서 면접 나선 것....변호인 선임 요청 오면 승낙할 것”
    ▲ 원영섭 서울 관악갑 당협위원장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 22일 경찰이 주범인 김동원(필명, 드루킹)씨와의 만남을 시도했던 자유한국당 원영섭 서울 관악갑 당협위원장은 22일 “집권세력이 드루킹 인권을 부당하게 압박하는 건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밝혔다.

    법률사무소 ‘집’대표 변호사로 최근 서울구치소에 있는 김씨를 찾았던 원 위원장은 이날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기본적으로 피고인 드루킹 인권에 문제가 있고 드루킹을 일종의 내부고발자 지위로 보고있다”며 “당사자 요청이 있으면 보호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언론에 나온 채팅방 대화 내용을 보면 드루킹이 현 정권에 대한 폭로를 암시하는 대목이 있고 또 현 정부에 대해 위협을 느끼거나 문재인 정부에 의해 실제적 진실이 덮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드루킹이 만남을 거부한 걸 보면 한국당 도움을 원하지 않는 거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 “처음에는 밝은 모습으로 인사했지만, 자유한국당에서 왔다고 하니 안색이 변해 바로 나가버렸다”며 “아직 민주당이나 청와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그러나 실상 민주당은 드루킹을 ‘협박범’, ‘악마’, ‘개인의 일탈’, ‘광신도’등으로 폄훼하고 모든 것을 떠넘기면서 꼬리자르기를 하고 있다”며 “구치소에서 외부상황을 바로바로 알 수 없겠지만, 지금쯤이면 드루킹 스스로 자신의 인권을 보호받을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생각 중일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드루킹을 만났을 때 한국당 소속임을 밝히지 않았다면 더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저는 변호인 접견을 한 것”이라며 “변호인 접견의 본질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호사가들의 뒷담화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이어 “변호사에게 범죄자에 대한 자유로운 접견을 허용하는 대신 그만큼의 책임을 규정하고 있다”며 “만약 제 신분을 밝히지 않은 상태로, 다시 말해 묵시적인 기망상태로 드루킹 진술을 들었다면, 이것은 중대한 변호사의 윤리위반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금태섭 의원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드루킹을 만났다면 변호인 접견권을 악용한 것’이라고 비난한 데 대해서는 “드루킹 사건이 그 자체로 정치적인 사건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그 의미를 완전히 분리 할 수 없을 수도 있다”면서도 “그러나 이것은 드루킹 인권에 대한 문제”라고 반박했다.

    이어 “최근 드루킹 변호사들이 연이어 사임하고 드루킹이 오사카총영사로 추천할 정도로 친분이 있던 변호사조차 선을 긋는 등 문재인정권의 눈 밖에 날까봐 드루킹 변론에 나서는 변호사들이 없는 게 현실”이라며 특히 “그가 이끌었던 ‘공경모’에 변호사들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누구도 나서는 이가 없지 않느냐”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쯤 드루킹은 자기가 열렬히 지지한 민주당과 청와대가 자신을 버리고 변호인들이 사임하는 상태에서 이 정권에 대한 극도의 공포심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며 “민주당과 문재인 정부가 김씨 인권을 부당하게 압박하고 있다는 합리적 의심이 드는 상황”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원 위원장은 ‘지금이라도 드루킹의 변호인 선임을 요청하면 수임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다. 드루킹에 대한 저의 생각은 변함이 없다. 인권을 보호하고 진실을 규명해야 한다”면서 “인권과 진실을 전제로 재판부에 최대한의 선처를 요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원위원장은 부실수사로 논란을 빚고 있는 경찰 수사와 관련, “경찰의 부실수사는 이미 경찰 스스로 인정한 사안”이라며 ‘특검’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원 위원장은 “경찰은 우리나라 공권력의 근간이 되는 조직인데 부실수사로 많은 비난을 받고 있어 안타깝다”며 “한국당을 포함해 야3당이 현재 이에 대한 특검을 주장하고 있고, 저 역시 특검만이 진실을 제대로 규명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경찰이 검경 수사권조정을 꺼내기 어려운 상황이 되어 버렸지만, 국민들로부터 최소한의 신뢰를 회복하고자 한다면 철저히 수사를 통해 김경수 의원 구속과 같은 성과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의원은 겨냥, “내일이라도 국회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며 “수사를 받는 것을 전제로 출마를 선언하신 분이시니 경남도지사 후보출마가 방탄 출마가 되어야 할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