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병원 등 지역사회 전체 참여
취약계층 1642명에 통합 복지지원
거동불편 노인들에 맞춤건강식 제공
나들이·생일잔치등 '힐링 프로그램'
안전시설 설치·청소 등 '안전한 家'도
[시민일보=여영준 기자]서울 중랑구는‘365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지역내 60세 이상 노인 1642명을 지원하고 있다.
구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의료비 지원은 물론 주기적으로 노인들을 찾아가 건강을 체크해 주고, 집안 청소와 식사 등을 도와주고 있다.
이 사업은 2015년 중랑구가 신내종합사회복지관, 서울 북부병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역사회 주도형 노인건강돌봄 지원사업’에 공모해 선정된 사업이다.
365 네트워크는 3년간 3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사업 시행 2년여간 의료지원 386명, 365 서포터즈를 통한 일상생활 지원 249명, 건강식 제공 221명, 힐링 프로그램 226명 지원 등 노인들의 든든한 아들·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시민일보>는 노인 건강과 복지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을 위해 구가 구축한 '365 네트워크'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 지역사회가 노인건강과 복지를 책임지는 ‘365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지난 2015년 '지역사회 주도형 노인건강돌봄 지원사업'에 선정된 구는 이듬해인 2016년 5개 컨소시엄 기관(신내종합사회복지관, 서울시 북부병원, 중랑구보건소, 중랑구정신건강증진센터, 중랑구치매안심센터)과 지역내 복지관 및 의사회·병원·동주민센터 등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전체가 참여하는 '365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역내 다양한 협력기관의 연계를 통해 대상자 발굴에서부터 병원진료 연계, 의료비 지원, 간병 지원 등의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다.
사업수행 대표기관인 신내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매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관련 기관간 연계를 활성화 시켜 대상자에 대한 통합서비스 및 자원 연계를 극대화시키고, 사례 관리를 통해 지원체계 및 서비스 개선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 서비스 대상자 폭 확대·건강식 제공·힐링 프로그램 운영
구는 먼저 노인 연령기준을 일반적인 노인복지제도 혜택 기준인 65세가 아닌 60세로 낮춰 지원대상자 폭을 확대시키고 복지사각지대를 최소화했다.
이어서 지역내 기관들이 연계해 취약계층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의료와 보건·복지 등의 통합적인 개인별 맞춤 지원하는 서비스로 의료지원, 365 서포터즈 방문 지원, 건강식 제공,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 힐링 프로그램 등을 마련했다.
구의 365 네트워크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노인들에게 주 3회 저염 건강식을, 질환 등의 이유로 일반식이 어려운 노인에게는 죽과 같은 형태의 맞춤형 특수식을 제공한다.
또한 안전손잡이, 가스 안전타이머 설치, 안전매트 설치, 청소·방역 서비스 등 노인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안전한 가(家)’ 서비스, 나들이와 생일잔치 등 외부활동의 기회가 적은 노인들의 고독감 해소와 활력 증진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365 서포터즈’ 봉사단 구성·운영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건강 점검 및 집안 청소·외출 동행 등의 일상적인 생활을 지원해 주는 ‘365 서포터즈’ 봉사단은 총 141명의 단원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요양보호사 자격증 소지자,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의 전문인력과 자원봉사 경험이 풍부한 지역 인력으로 구성돼 단순한 생활지원에 그치지 않고 노인들의 고독감과 우울함을 보듬어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서포터즈 지원을 받고 있는 망우동에 살고 있는 김 모씨(60·여)는 “정신적으로 많이 도와줘서 의지가 되고, 그 덕분에 살아가고 있다”며 “몸이 아파서 힘든데 말벗도 해주고 병원에도 같이 가줘서 가족 같다”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구 관계자는 "올해로 사업 시행 3년을 맞이한 구는 올해 더욱 내실있는 사업 운영으로 돌봄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2년여 동안 진행해온 사업 결과물을 토대로 ‘노인 돌봄에 대한 지역사회의 롤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진구 구청장은 “100세 시대에 노인 건강과 복지에 대한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지원은 필수”라며 “지역내 기관들의 관심 제고와 협력을 통한 체계적인 지원으로 구 노인들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구 복지정책과로 문의하면 된다.
취약계층 1642명에 통합 복지지원
거동불편 노인들에 맞춤건강식 제공
나들이·생일잔치등 '힐링 프로그램'
안전시설 설치·청소 등 '안전한 家'도
![]() |
||
▲ 네트워크 서비스 참여자가 노인의 혈압을 측정하고.(위) 건강식을 전달하고 있다. (아래) |
구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의료비 지원은 물론 주기적으로 노인들을 찾아가 건강을 체크해 주고, 집안 청소와 식사 등을 도와주고 있다.
이 사업은 2015년 중랑구가 신내종합사회복지관, 서울 북부병원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역사회 주도형 노인건강돌봄 지원사업’에 공모해 선정된 사업이다.
365 네트워크는 3년간 30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사업 시행 2년여간 의료지원 386명, 365 서포터즈를 통한 일상생활 지원 249명, 건강식 제공 221명, 힐링 프로그램 226명 지원 등 노인들의 든든한 아들·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시민일보>는 노인 건강과 복지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을 위해 구가 구축한 '365 네트워크'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 지역사회가 노인건강과 복지를 책임지는 ‘365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지난 2015년 '지역사회 주도형 노인건강돌봄 지원사업'에 선정된 구는 이듬해인 2016년 5개 컨소시엄 기관(신내종합사회복지관, 서울시 북부병원, 중랑구보건소, 중랑구정신건강증진센터, 중랑구치매안심센터)과 지역내 복지관 및 의사회·병원·동주민센터 등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전체가 참여하는 '365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역내 다양한 협력기관의 연계를 통해 대상자 발굴에서부터 병원진료 연계, 의료비 지원, 간병 지원 등의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다.
사업수행 대표기관인 신내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매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관련 기관간 연계를 활성화 시켜 대상자에 대한 통합서비스 및 자원 연계를 극대화시키고, 사례 관리를 통해 지원체계 및 서비스 개선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 서비스 대상자 폭 확대·건강식 제공·힐링 프로그램 운영
구는 먼저 노인 연령기준을 일반적인 노인복지제도 혜택 기준인 65세가 아닌 60세로 낮춰 지원대상자 폭을 확대시키고 복지사각지대를 최소화했다.
이어서 지역내 기관들이 연계해 취약계층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의료와 보건·복지 등의 통합적인 개인별 맞춤 지원하는 서비스로 의료지원, 365 서포터즈 방문 지원, 건강식 제공,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 힐링 프로그램 등을 마련했다.
구의 365 네트워크는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노인들에게 주 3회 저염 건강식을, 질환 등의 이유로 일반식이 어려운 노인에게는 죽과 같은 형태의 맞춤형 특수식을 제공한다.
또한 안전손잡이, 가스 안전타이머 설치, 안전매트 설치, 청소·방역 서비스 등 노인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안전한 가(家)’ 서비스, 나들이와 생일잔치 등 외부활동의 기회가 적은 노인들의 고독감 해소와 활력 증진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365 서포터즈’ 봉사단 구성·운영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의 건강 점검 및 집안 청소·외출 동행 등의 일상적인 생활을 지원해 주는 ‘365 서포터즈’ 봉사단은 총 141명의 단원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요양보호사 자격증 소지자,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의 전문인력과 자원봉사 경험이 풍부한 지역 인력으로 구성돼 단순한 생활지원에 그치지 않고 노인들의 고독감과 우울함을 보듬어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서포터즈 지원을 받고 있는 망우동에 살고 있는 김 모씨(60·여)는 “정신적으로 많이 도와줘서 의지가 되고, 그 덕분에 살아가고 있다”며 “몸이 아파서 힘든데 말벗도 해주고 병원에도 같이 가줘서 가족 같다”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구 관계자는 "올해로 사업 시행 3년을 맞이한 구는 올해 더욱 내실있는 사업 운영으로 돌봄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2년여 동안 진행해온 사업 결과물을 토대로 ‘노인 돌봄에 대한 지역사회의 롤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진구 구청장은 “100세 시대에 노인 건강과 복지에 대한 통합적이고 연속적인 지원은 필수”라며 “지역내 기관들의 관심 제고와 협력을 통한 체계적인 지원으로 구 노인들이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구 복지정책과로 문의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