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일 현재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의 확실한 당선 가능 지역은 대구‧경북(TK) 정도에 불과하다.
남경필 경기지사와 원희룡 제주지사의 탈당한 바른미래당은 더 암담한 상황이다. 사실상 유일하게 해볼 만한 지역으로 꼽히던 서울시장 선거 역시 좀처럼 불씨를 살려내지 못하는 모습이다.
민주평화당은 아예 텃밭이라고 호언하던 광주,전남,전북에서조차 당선자를 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방선거 이후 야권발 정계개편 가능성이 구체화되는 조짐이다.
특히 한국당 홍준표 대표의 불안한 리더십이 정계개편의 촉매역할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당 소속 4선 중진인 강길부(울산 울주) 의원이 이날 홍대표 퇴진을 공개촉구하면서 탈당한 것도 지방선거 이후 정계개편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당 관계자는 “당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지방선거보다 선거 이후 열릴 것으로 보이는 조기 전당대회에서의 당권 경쟁에 관심이 더 쏠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특히 ,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의 선전을 이끌어 정계개편을 주도하겠다는 손학규 바른당 선대위원장은 "우리나라 보수정치가 그렇게 쉽게 망가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 "우리 보수도 좀 새롭게 합리적인 보수로 개혁을 하고. 그런 세력들이 같이 모여서 새로운 정치세력을 구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 위원장의 한 측근은 “제왕적대통령제를 종식시키고 대통령의 권한을 나누는 책임총리제 개헌에 동의하는 모든 야권세력을 하나로 묶어내는 정계개편을 추진하지 않겠느냐”며 “바른미래당이 그 징검다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바른당 내부에조차 취약한 당 기반으로 정계개편 중심에 서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중도ㆍ보수 진영이 수도권을 넘어 영남에서까지 저조한 성적을 거둔다면 각 당의 확장 또는 존립을 위한 정계개편 움직임은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여기에 2020년 예정된 21대 총선을 계기로 각 당의 존립을 건 경쟁 속에서 정계개편 소용돌이가 거세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양당제로 회귀할지, 다당제 유지로 굳혀질 지 정계개편 결과에는 각 당의 지방선거 결과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앞서 바른당을 탈당한 원희룡 제주지사는 "사회의 요구가 있으면 그에 부응하기 위한 정치의 움직임과 변동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정계개편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다만 그는 "대권주자 중심으로 당이 갈라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야권 전체가 과거의 보수 진보 당론을 뛰어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