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하승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은 상대방의 흠집내기식 토론이 불 보듯 빤하다는 핑계를 대거나 후보자 간 토론이 아닌 인터뷰 방식의 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하겠다는 등 토론에 참여하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양새다.
실제로 지난달 22일 MBC 주최 서울시장 후보자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가 "한미정상회담이 열리는 날"이라며 불참해 취소됐다. 또 민주당 이재명 경기지사 후보는 토론 질문이 편파적이라며 불참해, 결국 남경필 자유한국당 후보가 단독으로 출연하는 싱거운 토론회가 되고 말았다. 민주당 오거돈 부산시장 후보 측은 지난 달 29일 오후 7시 생방송이 예정된 TV토론에 불참을 선언, 자유한국당 서병수 후보 측의 반발을 샀다.
또한 민주당 이용섭 광주시장 후보와 김영록 전남지사 후보는 법적 강제조항이 없는 방송사 초청토론회 참석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종편 JTBC는 "불필요한 갈등과 오해를 양산한다"며 오는 4일과 5일 예정했던 경기지사, 서울시장 후보자 토론을 모두 취소하는 기이한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사실 이런 일은 이른바 ‘드루킹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김경수 경남지사 후보와 ‘조폭 스폰 의혹’을 받는 은수미 성남시장 후보 등 민주당의 ‘오만한 공천’이 곳곳에서 이뤄질 때부터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토론회가 진행될 때마다 민주당 후보들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게 될 것이고, 그걸 우려한 민주당 후보들은 이런저런 핑계를 대서라도 방송토론회에 나가지 않으려 몸부림 칠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JTBC처럼 언론이 권력의 눈치를 살피느라 알아서 기듯, 민주당 후보들의 마음을 헤아려 주는 태도를 취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으니 민주당 후보들로서는 더없이 반가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깜깜이 선거’, 즉 후보들의 면면을 미처 살피지 못하고 자질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선거가 된다면, 그것은 유권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상임선대위원장이 JTBC를 향해 "경기지사와 서울시장 토론회 취소를 다시 활성화시켜서 토론회를 열어주시길 바란다"며 간곡히 호소한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바른미래당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는 "언론사 갑질이자, 관제언론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날을 세웠고, 김선동 자유한국당 서울시장 위원장도 "국민들에게 깜깜이 선거를 하라는 것이고 기득권 정당과 기득권 후보에게 유리한 선거환경을 만들어준 것과 다름없다"고 질책했다.
여야 각 정당의 후보들은 향후 4년을 책임질 각오로 선거에 나선 만큼 선관위 주최 토론회 는 물론 TV 정책토론회에 많이 참석해 지역주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검증, 평가받는 게 후보자의 도리다. 특히 후보자들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돕고 선거전에 불거진 각종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방송토론에 임해야 한다. 지금 유권자가 후보자를 검증하는 유일한 방법이 방송토론인데 이를 거부한다는 것은 공당 후보가 취할 도리가 아니다.
정말 거리낄 것 없이 당당하다면 토론회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 토론회를 거부한다는 것은 그만큼 감출게 많다는 뜻일지도 모른다. 물론 지금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워낙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토론회를 회피하고, ‘쉬쉬’하더라도 여당 후보들이 당선 가능성이 높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걸 저지할 힘이 유권자들에게 있음을 민주당은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 여론조사에 나타나지 않는 숨어 있는 표심이 적어도 20%가량은 될 것이다. 그들이 지금, 속내를 드러내고 있지 않지만 만일 계속해서 토론회를 거부할 경우, 그래서 ‘깜깜이 선거’를 유도할 경우에 등을 돌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선거의 승패는 여론조사 기관이 내놓는 수치가 아니라 유권자가 행사하는 소중한 한 표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다.
경고하거니와 국민의 알권리를 무시하고, 토론회를 거부하는 후보는 결코 유권자의 지지를 받을 수 없다.
박원순 후보와 이재명 후보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토론회에 임해 주기를 바란다. 그런 차원에서 JTBC의 토론회 일방취소를 질책하며, 다시 토론회 개최를 요구하는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울러 JTBC는 살아남는 방법을 생각하기에 앞서 언론의 사명을 먼저 생각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방송을 지켜주는 건 권력이 아니라 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 바로 국민이다.
![]() |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은 상대방의 흠집내기식 토론이 불 보듯 빤하다는 핑계를 대거나 후보자 간 토론이 아닌 인터뷰 방식의 대담 프로그램에 출연하겠다는 등 토론에 참여하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양새다.
실제로 지난달 22일 MBC 주최 서울시장 후보자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가 "한미정상회담이 열리는 날"이라며 불참해 취소됐다. 또 민주당 이재명 경기지사 후보는 토론 질문이 편파적이라며 불참해, 결국 남경필 자유한국당 후보가 단독으로 출연하는 싱거운 토론회가 되고 말았다. 민주당 오거돈 부산시장 후보 측은 지난 달 29일 오후 7시 생방송이 예정된 TV토론에 불참을 선언, 자유한국당 서병수 후보 측의 반발을 샀다.
또한 민주당 이용섭 광주시장 후보와 김영록 전남지사 후보는 법적 강제조항이 없는 방송사 초청토론회 참석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종편 JTBC는 "불필요한 갈등과 오해를 양산한다"며 오는 4일과 5일 예정했던 경기지사, 서울시장 후보자 토론을 모두 취소하는 기이한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사실 이런 일은 이른바 ‘드루킹 연루 의혹’을 받고 있는 김경수 경남지사 후보와 ‘조폭 스폰 의혹’을 받는 은수미 성남시장 후보 등 민주당의 ‘오만한 공천’이 곳곳에서 이뤄질 때부터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토론회가 진행될 때마다 민주당 후보들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게 될 것이고, 그걸 우려한 민주당 후보들은 이런저런 핑계를 대서라도 방송토론회에 나가지 않으려 몸부림 칠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JTBC처럼 언론이 권력의 눈치를 살피느라 알아서 기듯, 민주당 후보들의 마음을 헤아려 주는 태도를 취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으니 민주당 후보들로서는 더없이 반가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로 인해 ‘깜깜이 선거’, 즉 후보들의 면면을 미처 살피지 못하고 자질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선거가 된다면, 그것은 유권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상임선대위원장이 JTBC를 향해 "경기지사와 서울시장 토론회 취소를 다시 활성화시켜서 토론회를 열어주시길 바란다"며 간곡히 호소한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바른미래당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는 "언론사 갑질이자, 관제언론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날을 세웠고, 김선동 자유한국당 서울시장 위원장도 "국민들에게 깜깜이 선거를 하라는 것이고 기득권 정당과 기득권 후보에게 유리한 선거환경을 만들어준 것과 다름없다"고 질책했다.
여야 각 정당의 후보들은 향후 4년을 책임질 각오로 선거에 나선 만큼 선관위 주최 토론회 는 물론 TV 정책토론회에 많이 참석해 지역주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 검증, 평가받는 게 후보자의 도리다. 특히 후보자들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돕고 선거전에 불거진 각종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방송토론에 임해야 한다. 지금 유권자가 후보자를 검증하는 유일한 방법이 방송토론인데 이를 거부한다는 것은 공당 후보가 취할 도리가 아니다.
정말 거리낄 것 없이 당당하다면 토론회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 토론회를 거부한다는 것은 그만큼 감출게 많다는 뜻일지도 모른다. 물론 지금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워낙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토론회를 회피하고, ‘쉬쉬’하더라도 여당 후보들이 당선 가능성이 높은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걸 저지할 힘이 유권자들에게 있음을 민주당은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 여론조사에 나타나지 않는 숨어 있는 표심이 적어도 20%가량은 될 것이다. 그들이 지금, 속내를 드러내고 있지 않지만 만일 계속해서 토론회를 거부할 경우, 그래서 ‘깜깜이 선거’를 유도할 경우에 등을 돌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선거의 승패는 여론조사 기관이 내놓는 수치가 아니라 유권자가 행사하는 소중한 한 표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다.
경고하거니와 국민의 알권리를 무시하고, 토론회를 거부하는 후보는 결코 유권자의 지지를 받을 수 없다.
박원순 후보와 이재명 후보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토론회에 임해 주기를 바란다. 그런 차원에서 JTBC의 토론회 일방취소를 질책하며, 다시 토론회 개최를 요구하는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울러 JTBC는 살아남는 방법을 생각하기에 앞서 언론의 사명을 먼저 생각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방송을 지켜주는 건 권력이 아니라 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 바로 국민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