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0 수산자원 회복·어업인 소득증대 위해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이하 연구소)가 오는 27일 시험연구사업으로 자체생산한 어린 말쥐치 2만마리를 기장군 연안에 방류한다.
말쥐치는 우리나라 전연안에 분포하는 어종으로 예전에는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쥐포’를 만들던 품종이었으나, 남획, 해양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자원이 고갈돼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최대 35㎝까지 성장하고 최근에는 고급횟감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해파리 천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어 이번에 칠암항 인근에 말쥐치를 방류할 경우 유해성 해파리 퇴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산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이번에 방류되는어린 말쥐치는 연구소에서 올해 4~6월 약 65일 정도 키워진 것으로, 크기가 5cm 내외이다.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자체 생산한 건강하고 다양한 어린물고기의 방류를 통해 고갈된 연안자원 회복에 힘쓸 것이며 시민단체 체험방류 활성화로 수산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인식을 높이는 데에도 노력할 것이다”고 전했다.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 수산자원연구소(이하 연구소)가 오는 27일 시험연구사업으로 자체생산한 어린 말쥐치 2만마리를 기장군 연안에 방류한다.
말쥐치는 우리나라 전연안에 분포하는 어종으로 예전에는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쥐포’를 만들던 품종이었으나, 남획, 해양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자원이 고갈돼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최대 35㎝까지 성장하고 최근에는 고급횟감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해파리 천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어 이번에 칠암항 인근에 말쥐치를 방류할 경우 유해성 해파리 퇴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산자원연구소에 따르면 이번에 방류되는어린 말쥐치는 연구소에서 올해 4~6월 약 65일 정도 키워진 것으로, 크기가 5cm 내외이다.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자체 생산한 건강하고 다양한 어린물고기의 방류를 통해 고갈된 연안자원 회복에 힘쓸 것이며 시민단체 체험방류 활성화로 수산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시민인식을 높이는 데에도 노력할 것이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