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진태웅 기자] 충남 홍성군보건소는 연일 지속되는 폭염과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식중독 발생 우려가 높은 만큼 여름철 음식물의 보관·관리·섭취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여름철에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식중독으로는 주로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 캠필로박터제주니, 장염비브리오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짧게는 1시간, 길게는 72시간내 고열과 복통·설사·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식중독이 발생한 뒤 1~3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증상이 완화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는 지속적인 설사로 탈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더욱 유의해야 한다.
여름철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조리 및 식사 전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개인 위생수칙을 철저히 하기 ▲음식물 완전히 익혀 먹기(육류는 중심부 온도가 75℃로 1분 이상 가열ㆍ어패류는 85℃로 1분 이상 가열) ▲물은 끓여 마시기 ▲식재료는 깨끗이 씻어 바로 조리하거나 냉장 보관하기 ▲식재료와 조리된 음식은 구분해 보관하기 ▲냉장고에 오래 보관할 수 없는 음식물이나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품은 모두 버리기 ▲주방의 칼, 도마, 행주 등은 사용 후 열탕처리·소독제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 후 잘 말려서 사용하기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여름 휴가철을 맞이해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산과 들에서 버섯이나 과일 등을 함부로 따먹지 않고, 생선ㆍ조개 등의 어패류를 날 것으로 섭취하는 경우에는 장염비브리오 등의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바다 근처로 휴가를 가는 경우 어패류는 충분히 가열해 먹어야 한다.
또한 여름철 모든 음식은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분량만 만들거나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며, 유통기한이 경과했거나 불확실한 식품이나 상온에 일정 기간 방치해 부패·변질이 우려되는 음식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
군보건소 관계자는 “여름철 식중독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식중독 3대 예방 수칙을 준수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여름철에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식중독으로는 주로 병원성대장균, 살모넬라, 캠필로박터제주니, 장염비브리오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짧게는 1시간, 길게는 72시간내 고열과 복통·설사·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식중독이 발생한 뒤 1~3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증상이 완화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는 지속적인 설사로 탈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더욱 유의해야 한다.
여름철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조리 및 식사 전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개인 위생수칙을 철저히 하기 ▲음식물 완전히 익혀 먹기(육류는 중심부 온도가 75℃로 1분 이상 가열ㆍ어패류는 85℃로 1분 이상 가열) ▲물은 끓여 마시기 ▲식재료는 깨끗이 씻어 바로 조리하거나 냉장 보관하기 ▲식재료와 조리된 음식은 구분해 보관하기 ▲냉장고에 오래 보관할 수 없는 음식물이나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품은 모두 버리기 ▲주방의 칼, 도마, 행주 등은 사용 후 열탕처리·소독제를 이용한 세척 및 소독 후 잘 말려서 사용하기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여름 휴가철을 맞이해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산과 들에서 버섯이나 과일 등을 함부로 따먹지 않고, 생선ㆍ조개 등의 어패류를 날 것으로 섭취하는 경우에는 장염비브리오 등의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바다 근처로 휴가를 가는 경우 어패류는 충분히 가열해 먹어야 한다.
또한 여름철 모든 음식은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분량만 만들거나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며, 유통기한이 경과했거나 불확실한 식품이나 상온에 일정 기간 방치해 부패·변질이 우려되는 음식은 과감히 버려야 한다.
군보건소 관계자는 “여름철 식중독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식중독 3대 예방 수칙을 준수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