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 고하승
9.2 전대를 앞두고 바른미래당 당권주자들 사이에서 이른바 ‘짝짓기’가 한창이다.
1인 2표제인 까닭에 후보들 간의 짝짓기는 사실상 ‘교차투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 표는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또 한 표는 지지하는 후보와 짝짓기를 한 후보에게 주자는 약속이다.
가장 먼저 ‘하태경-김영환 후보 간의 짝짓기’가 이뤄졌다.
실제 하태경·김영환 후보는 12일 연대를 선언하고 최대 경쟁자인 손학규 후보를 견제하고 나섰다.
바른정당 출신인 하 후보와 국민의당 출신인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정치미래연합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바른미래 당권주자 초청 토론회'에 참석했으며, 이 자리에서 김 후보는 "이번선거에서 김영환을 찍으려는 분들은 나머지 한 표를 하태경에게 찍어달라"며 "하태경은 정말 좋은 정치인"이라고 추켜세웠다.
이에 하 후보도 "김영환은 하태경보다 더 젊은 하태경 같다"며 "저도 하태경 찍은 분들에게 또 한표는 무조건 김영환을 찍으라고 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와 하 후보는 선두를 달리고 있는 손학규 후보를 협공하기도 했다.
김 후보는 "바른미래당은 나이와 경륜 많은 사람이 의원들을 끌어와 살리는 게 아니라 민심을 가져와야 살리는 것"이라며 경륜을 앞세우는 손학규 후보를 직격하는 방식으로 하태경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었고, 하 후보도 "컷오프의 교훈은 경륜을 이야기하면서 안심(安心.안철수 마음)팔이 하는 분을 심판했다"고 손 후보를 비판했다.
대체 국민의당 출신 김영환 후보가 왜 같은 국민의당 출신 손학규 후보가 아닌 바른정당 출신 하태경 후보와 짝짓기를 한 것일까?
최근 여론조사 결과 하태경 후보는 손학규 후보에 이어 2위를 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후보가 하태경 후보와 짝짓기를 한 것은 지지율 2위인 하 후보를 당대표로 밀어주는 대신 자신은 하 후보 지지자들의 표를 받아 최고위원에 당선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바른미래당은 이번 선거에서 1위는 당 대표로, 2위~4위는 최고위원으로 선출된다. 그러나 반드시 여성후보 한 사람은 당선시켜야하기 때문에 권은희 전 의원은 이미 당선이 확정된 상태다.
따라서 김영환 후보가 당선되려면, 반드시 3위권 내에 들어야만 하는데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김 후보는 이준석 후보에게조차 큰 차이로 밀린다. 3위권 내에 진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 위기의식 때문에 자신은 국민의당 출신이면서도 바른정당 출신인 하태경 후보와 연대를 한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집토끼를 단속하는 대신 산토끼를 잡으러 나선 셈이다. 하지만 그런 태도가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로 두 후보의 연대 기사에 13일 낮 12시 현재 52개의 댓글이 달렸는데, “계륵 같은 듀오”, “한국정치의 망신스런 한 장면”, “하나같이 찌질한 기회주의자들!”이라는 등 대부분이 부정적이었다.
특히 국민의당 출신 당원들 사이에선 김영환 후보에 대한 비판의 글들이 SNS상에 넘쳐나고 있으며, 바른정당 출신들 사이에선 하태경 후보를 질타하는 글들이 나오고 있다.
한마디로 산토끼와 집토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다 오히려 집토끼마저 놓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보면 정치란 참 오묘한 것이다. 얼핏 숫자만 놓고 따지고 보면 김영환 후보와 하태경 후보의 ‘이종교배’는 절묘한 신의 한 수처럼 보인다. 그러나 민심과 당심은 그런 이종교배를 용납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기기위해서라면 ‘적과의 동침’도 마다하지 않는 게 선거라고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정치꾼들의 생각일 뿐이고, 민심과 당심은 그렇지 않다는 게 확인되고 있다.
어쩌면 이번 전대에서 ‘오직 승리만을 위한 이종교배’를 선택한 두 후보가 심판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하태경 의원과 김영환 전 의원 모두 괜찮은 정치인이라고 생각했던 필자로서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가뜩이나 패권양당에 치여 맥을 못 쓰는 판국에 바른미래당만큼이라도 이런 구태정치를 탈피하고, 새로운 정치의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했는데 실망이다.
이제 정치도 새로워져야 한다. 각 캠프는 안심이니 유심이니 하는 논란을 부채질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승리만을 목적으로 하는 ‘짝짓기’도 투표권자아 입장에서는 매우 불쾌한 일일 것이다. 후보라면 당당하게 혼자의 힘으로 나아가기를 바란다. 특히 유력 주자를 무너뜨리기 위해 도토리 후보들이 합심해 헐뜯는 모습은 당을 위해서라도 지향해야한다. 손학규 캠프가 “손학규 이름으로 네거티브를 하지 않겠다”고 밝힌 만큼, 다른 캠프들도 이에 동참하기를 바란다.
![]() |
9.2 전대를 앞두고 바른미래당 당권주자들 사이에서 이른바 ‘짝짓기’가 한창이다.
1인 2표제인 까닭에 후보들 간의 짝짓기는 사실상 ‘교차투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 표는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또 한 표는 지지하는 후보와 짝짓기를 한 후보에게 주자는 약속이다.
가장 먼저 ‘하태경-김영환 후보 간의 짝짓기’가 이뤄졌다.
실제 하태경·김영환 후보는 12일 연대를 선언하고 최대 경쟁자인 손학규 후보를 견제하고 나섰다.
바른정당 출신인 하 후보와 국민의당 출신인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정치미래연합 주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바른미래 당권주자 초청 토론회'에 참석했으며, 이 자리에서 김 후보는 "이번선거에서 김영환을 찍으려는 분들은 나머지 한 표를 하태경에게 찍어달라"며 "하태경은 정말 좋은 정치인"이라고 추켜세웠다.
이에 하 후보도 "김영환은 하태경보다 더 젊은 하태경 같다"며 "저도 하태경 찍은 분들에게 또 한표는 무조건 김영환을 찍으라고 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와 하 후보는 선두를 달리고 있는 손학규 후보를 협공하기도 했다.
김 후보는 "바른미래당은 나이와 경륜 많은 사람이 의원들을 끌어와 살리는 게 아니라 민심을 가져와야 살리는 것"이라며 경륜을 앞세우는 손학규 후보를 직격하는 방식으로 하태경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었고, 하 후보도 "컷오프의 교훈은 경륜을 이야기하면서 안심(安心.안철수 마음)팔이 하는 분을 심판했다"고 손 후보를 비판했다.
대체 국민의당 출신 김영환 후보가 왜 같은 국민의당 출신 손학규 후보가 아닌 바른정당 출신 하태경 후보와 짝짓기를 한 것일까?
최근 여론조사 결과 하태경 후보는 손학규 후보에 이어 2위를 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후보가 하태경 후보와 짝짓기를 한 것은 지지율 2위인 하 후보를 당대표로 밀어주는 대신 자신은 하 후보 지지자들의 표를 받아 최고위원에 당선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바른미래당은 이번 선거에서 1위는 당 대표로, 2위~4위는 최고위원으로 선출된다. 그러나 반드시 여성후보 한 사람은 당선시켜야하기 때문에 권은희 전 의원은 이미 당선이 확정된 상태다.
따라서 김영환 후보가 당선되려면, 반드시 3위권 내에 들어야만 하는데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김 후보는 이준석 후보에게조차 큰 차이로 밀린다. 3위권 내에 진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 위기의식 때문에 자신은 국민의당 출신이면서도 바른정당 출신인 하태경 후보와 연대를 한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집토끼를 단속하는 대신 산토끼를 잡으러 나선 셈이다. 하지만 그런 태도가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는 모양새다.
실제로 두 후보의 연대 기사에 13일 낮 12시 현재 52개의 댓글이 달렸는데, “계륵 같은 듀오”, “한국정치의 망신스런 한 장면”, “하나같이 찌질한 기회주의자들!”이라는 등 대부분이 부정적이었다.
특히 국민의당 출신 당원들 사이에선 김영환 후보에 대한 비판의 글들이 SNS상에 넘쳐나고 있으며, 바른정당 출신들 사이에선 하태경 후보를 질타하는 글들이 나오고 있다.
한마디로 산토끼와 집토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다 오히려 집토끼마저 놓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보면 정치란 참 오묘한 것이다. 얼핏 숫자만 놓고 따지고 보면 김영환 후보와 하태경 후보의 ‘이종교배’는 절묘한 신의 한 수처럼 보인다. 그러나 민심과 당심은 그런 이종교배를 용납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기기위해서라면 ‘적과의 동침’도 마다하지 않는 게 선거라고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정치꾼들의 생각일 뿐이고, 민심과 당심은 그렇지 않다는 게 확인되고 있다.
어쩌면 이번 전대에서 ‘오직 승리만을 위한 이종교배’를 선택한 두 후보가 심판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하태경 의원과 김영환 전 의원 모두 괜찮은 정치인이라고 생각했던 필자로서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가뜩이나 패권양당에 치여 맥을 못 쓰는 판국에 바른미래당만큼이라도 이런 구태정치를 탈피하고, 새로운 정치의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했는데 실망이다.
이제 정치도 새로워져야 한다. 각 캠프는 안심이니 유심이니 하는 논란을 부채질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승리만을 목적으로 하는 ‘짝짓기’도 투표권자아 입장에서는 매우 불쾌한 일일 것이다. 후보라면 당당하게 혼자의 힘으로 나아가기를 바란다. 특히 유력 주자를 무너뜨리기 위해 도토리 후보들이 합심해 헐뜯는 모습은 당을 위해서라도 지향해야한다. 손학규 캠프가 “손학규 이름으로 네거티브를 하지 않겠다”고 밝힌 만큼, 다른 캠프들도 이에 동참하기를 바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