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난방공사 긴급 점검
내일 12일까지 정밀진단
[시민일보=고수현 기자] 지난 4일 경기 고양시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 참사를 계기로 20년 이상된 열수송관 686㎞ 전구간을 대상으로 긴급점검을 실시한 결과, 총 203곳에서 이상징후를 발견했다.
13일 한국지역난방공사(이하 난방공사)에 따르면 지난 5일부터 12일 새벽까지 전국의 온수배관 2164㎞ 가운데 20년 이상된 686㎞를 대상으로 열화상 카메라 21대와 93명을 투입해 긴급 점검을 벌인 결과, 주변지역과 섭씨 3도 이상 지열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 203곳을 확인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10도 이상으로 지열차가 커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어 보인 지점은 16곳이었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긴급점검 과정에서 발견된 5개 지점은 이미 굴착을 하였는데, 굴착결과 4개 지점은 이상이 없었으며, 1개 지점은 미세누수로 배관을 교체했다"고 밝혔다.
13일 현재 2곳은 굴착 중이고 나머지 9곳은 관할 구청 등과 협의해 굴착할 예정이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백석역 사고의 경우 열수송관 연결부 용접부위가 내구성이 떨어져 파열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동일한 공법으로 시공된 443곳에 대해서는 동절기내 직접 굴착해 전량 보수하거나 교체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 11~12일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와 경기 안산시 고잔동에서도 비슷한 온수관 파열 사고가 연이어 발생해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목동은 서울시 산하 서울에너지공사가, 안산은 안산도시개발이 각각 맡고 있는데 이번 난방공사 긴급점검 대상에서 민간으로 분류돼 빠진 곳들이다.
난방공사와 민간이 전체 열수송관 관리를 거의 반분하고 있으며, 이번 20년이상 노후관 686㎞(공사 전체 수송관의 32%) 긴급점검도 공사가 관리하는 곳에만 한정됐다.
황창화 난방공사 사장은 13일 기자회견에서 "난방공사 30여년 역사에서 온수관에 금이 가거나 찢긴 사고는 왕왕 있었지만 백석역 같은 폭발형 사고는 처음이었다"며 "앞으로 산업부를 비롯한 정부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민간까지 안전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노후관은 주로 고양 일산, 성남 분당 등 1990년대초 지어진 1기 신도시에 주로 배치돼있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부위 또는 구간이 발견된 경우에는 즉시 보수공사를 시행하겠다"며 "지열차가 발생하는 지점 203곳 등 이상징후가 나타난 부위나 구간에 대해서는 최신 정밀장비와 기법 등을 활용해 13일부터 내년 1월12일까지 정밀진단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난방공사는 그 결과를 토대로 내년 1월말까지 종합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난방공사 측은 지난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사고에 따른 사망자는 1명이고 화상 등 부상자는 모두 55명이라고 확인했다.
황창화 사장은 "장례비를 지원하고 보상과 치료비 등을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유족 및 사고 피해자와 열공급 중단으로 인해 불편을 겪은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다시 사죄한다"고 말했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온수관에는 보통 100도가 넘는 펄펄 끓는 난방용 물이 흐르고 있으며, 지표면에서 1∼2.5m 깊이에 매설돼 있다"며 "폭발형 사고는 예외적인 만큼 시민들이 너무 불안해하실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내일 12일까지 정밀진단
[시민일보=고수현 기자] 지난 4일 경기 고양시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 참사를 계기로 20년 이상된 열수송관 686㎞ 전구간을 대상으로 긴급점검을 실시한 결과, 총 203곳에서 이상징후를 발견했다.
13일 한국지역난방공사(이하 난방공사)에 따르면 지난 5일부터 12일 새벽까지 전국의 온수배관 2164㎞ 가운데 20년 이상된 686㎞를 대상으로 열화상 카메라 21대와 93명을 투입해 긴급 점검을 벌인 결과, 주변지역과 섭씨 3도 이상 지열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 203곳을 확인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10도 이상으로 지열차가 커서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어 보인 지점은 16곳이었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긴급점검 과정에서 발견된 5개 지점은 이미 굴착을 하였는데, 굴착결과 4개 지점은 이상이 없었으며, 1개 지점은 미세누수로 배관을 교체했다"고 밝혔다.
13일 현재 2곳은 굴착 중이고 나머지 9곳은 관할 구청 등과 협의해 굴착할 예정이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백석역 사고의 경우 열수송관 연결부 용접부위가 내구성이 떨어져 파열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동일한 공법으로 시공된 443곳에 대해서는 동절기내 직접 굴착해 전량 보수하거나 교체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 11~12일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와 경기 안산시 고잔동에서도 비슷한 온수관 파열 사고가 연이어 발생해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목동은 서울시 산하 서울에너지공사가, 안산은 안산도시개발이 각각 맡고 있는데 이번 난방공사 긴급점검 대상에서 민간으로 분류돼 빠진 곳들이다.
난방공사와 민간이 전체 열수송관 관리를 거의 반분하고 있으며, 이번 20년이상 노후관 686㎞(공사 전체 수송관의 32%) 긴급점검도 공사가 관리하는 곳에만 한정됐다.
황창화 난방공사 사장은 13일 기자회견에서 "난방공사 30여년 역사에서 온수관에 금이 가거나 찢긴 사고는 왕왕 있었지만 백석역 같은 폭발형 사고는 처음이었다"며 "앞으로 산업부를 비롯한 정부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민간까지 안전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노후관은 주로 고양 일산, 성남 분당 등 1990년대초 지어진 1기 신도시에 주로 배치돼있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사고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부위 또는 구간이 발견된 경우에는 즉시 보수공사를 시행하겠다"며 "지열차가 발생하는 지점 203곳 등 이상징후가 나타난 부위나 구간에 대해서는 최신 정밀장비와 기법 등을 활용해 13일부터 내년 1월12일까지 정밀진단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난방공사는 그 결과를 토대로 내년 1월말까지 종합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난방공사 측은 지난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사고에 따른 사망자는 1명이고 화상 등 부상자는 모두 55명이라고 확인했다.
황창화 사장은 "장례비를 지원하고 보상과 치료비 등을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유족 및 사고 피해자와 열공급 중단으로 인해 불편을 겪은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다시 사죄한다"고 말했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온수관에는 보통 100도가 넘는 펄펄 끓는 난방용 물이 흐르고 있으며, 지표면에서 1∼2.5m 깊이에 매설돼 있다"며 "폭발형 사고는 예외적인 만큼 시민들이 너무 불안해하실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