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평생주택 협업팀 본격 가동
시 의회, 시민단체, 공공기관, 사업자, 청년, 전문가 등 참여
공공임대주택의 패러다임 전환…무주택 실수요자 주거안정 도모
입주자격 완화, 중형면적, 복리시설 확충, 파격적인 디자인 등 제안
정찬남 기자
jcrso@siminilbo.co.kr | 2021-02-02 15:42:58
[광주=정찬남 기자] 광주광역시는 집값 상승과 전월세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 신혼부부, 중산층 이하 무주택 가구의 주거안정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누구나 살고 싶은 집! 광주형 평생주택’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협업팀을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협업팀은 이상배 도시재생국장을 총괄책임으로 시 의회, 시민단체, 공공주택사업자인 광주도시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 청년, 여성가족, 주택 및 건축 전문가 등 11명으로 출발했으며 향후 필요한 분야를 추가해 확대운영 할 계획이다.
첫 회의는 각 기관 및 전문가들과 ‘광주형 평생주택’ 사업의 취지와 방향, 내용 등을 공유하고 광주형 평생주택에 적용할 국토부의 공공주택특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관련규정의 입법예고(안)에 대한 토론이 이뤄졌다.
또 500세대 규모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으며 향후 협업과제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또 청년과 신혼부부들을 위한 공급비율의 확대가 필요하되 주거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중산층 이하 무주택자가 더 많이 입주할 수 있도록 입주자격 완화에 대해 국토부에 건의해 특정 계층이 아닌 다양한 계층이 서로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단지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이 논의됐다.
향후 협업팀은 ▲시범사업의 공급대상 비율 ▲맞춤형 복리시설의 종류 ▲차별화된 디자인을 위한 설계공모 추진 방식 ▲광주형 평생주택 공급 지속성 확보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해 나갈 계획이다.
이상배 시 도시재생국장은 “광주형 평생주택은 집값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이 집 걱정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사업이 확장될 수 있도록 각 기관 및 전문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