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무로에 사진전 중부대 사진영상학과 허현주 교수

    지역소식 / 시민일보 / 2002-08-06 19:53:07
    • 카카오톡 보내기
    ‘위안부 할머니의 삶’ 렌즈에 담아
    {ILINK:1} 1년여가 넘게 전국 각지를 돌며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픔과 한을 카메라에 담아 온 한 젊은 여교수가 그동안의 작품들을 한데 모아 사진전을 열었다.

    렌즈를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삶을 기록한 주인공은 허현주(41·여) 중부대 사진영상학과 교수.

    허 교수는 5일부터 10일까지 서울 중구 충무로의 한 갤러리에서 `빼앗긴 세월’(The Infringed Years)이라는 제목으로 위안부 할머니들의 사진전을 열고 있다.

    이 사진전은 `투쟁’ `나눔’ 그리고 `한의 시선’ 세 마당으로 구성됐다.

    ‘투쟁’ 마당에서 그는 수요시위 등 각종 집회에서 `빼앗긴 세월’을 찾으려는 할머니들의 울부짖음을 표현했고, ‘나눔’ 마당에서는 정대협 활동가, 자원봉사자, 나눔의 집 식구 등 위안부 할머니 주변 인물들의 따뜻하고 끈끈한 시선을 담아냈다.

    `한의 시선’ 마당에서는 지금까지 허 교수가 국내 구석구석을 돌며 만난 위안부 할머니들의 세월의 한을 담담하게 담고 있다.

    허 교수가 위안부 문제를 처음 접한 것은 10여년전 위안부 문제가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공론화되고, 미국 뉴욕에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지부가 생기면서부터.

    당시 시러큐스대에서 포토저널리즘 대학원 과정을 밟고 있었던 허 교수는 고국에서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킨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정대협 뉴욕지부를 찾았지만 학업에 쫓기는 상황이라 지속적으로 접촉할 수가 없었다.

    허 교수는 6일 “비록 할머니들은 생을 마감하겠지만 그들에 대한 사진기록은 가해국과 가해자들의 뇌리에 영원히 남아있도록 하고 싶다”며 “영상 기록이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넋을 위로하고 생존해 계신 위안부 할머니들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피해보상을 받는데 조그만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허 교수는 이어 “생존 위안부 할머니의 수가 애초 205명에서 현재 140명으로 해마다 줄어 안타깝다”며 “이번 사진전을 통해 잊혀져 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공론의 장이 다시 한번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 연합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