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떡 줄 사람 생각도 없는데 김칫국부터”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새로운 혁신 플랫폼을 통한 야권 재편을 제안하는 등 신당 창당에 방점을 찍었지만 정치권 냉대로 탄력을 받을 수 있을 지 주목된다.
특히 안 대표가 '신당창당 ' 카드로 국민의힘 김종인 비대위원장과의 신경전에 돌입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면서 정치권 관심이 쏠리는 분위기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8일 “안 대표가 지난 6일 '국민미래포럼' 비공개 간담회에서 '국민의당을 중심으로 중도, 합리적 진보까지 포괄할 수 있는 신당을 창당해 내년 보궐선거를 치르자는 취지를 밝혔지만 현실성이 떨어지는 주장이었다"며 "특히 국민의당으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제안”이라고 말했다.
앞서 안 대표는 지난 6일 국민의당·국민의힘 의원들이 주도하는 연구모임에 초청된 자리에서 비공개 발언을 통해 "(내년 선거에서 이기려면) 지지 기반을 넓히고 (야권을 향한) 비호감을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그 방법은 새로운 플랫폼, 사실상 새로운 정당"이라고 주장하면서 "단순히 합치는 것만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 서로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새롭게 모이자"고 의원들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진 공개 강연에서도 "야권이 비호감이니까 (유권자들에게) 무슨 말을 해도 듣지 않는다"며 "야권재편으로 새로운 혁신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반문(反文)연대가 아니라 혁신연대, 미래연대, 국민연대로 가는 게 유일한 길"이라며 "정권교체를 위해 어떤 역할이라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안대표는 '기존의 서울시장 불출마 입장이 달라졌느냐'는 질문이 이어지자 “변함이 없다. 같은 말 하기가 지겨워서 다른 표현을 썼을 뿐 취지는 같다”고 선을 그으면서 '대권 직행' 속내를 감추지 않았다.
이에 대해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정권교체를 하기 위해서 뭘 하겠다는 구체적인 얘기는 안 하고 막연하게 노력하겠다는 것은 항상 하는 얘기"라고 평가절하했다.
안 대표와 연대 가능성에 대해서도 “아직까진 그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며 “막연하게 정권교체를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말만 믿고 딴짓을 할 수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야권재편' 관련한 기자들 질문에 "야권이 우리 '국민의힘' 말고 뭐가 더 있냐"고 일축하면서 '국민의당도 있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답변조차 하지 않는 모습으로 눈길을 끌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의원도 안 대표의 제안에 “정치권의 우스갯거리”라면서 “공천을 받아도 당선 가능성이 없는 정당에서 공천권을 갖고 죽기 살기로 싸우는 것”이라고 깎아내렸다.
이어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없는데 김칫국부터 너무 많이 마셔 배탈 나 병원에 입원하는 정치인들. 살 물건도 팔 물건도 없는데 장날에는 꼭 옷 차려입고 장에 가는 장돌뱅이처럼 선거 때만 되면 습관적으로 선거 몸살을 앓는 출마병에 걸린 분들”이라며 “왕년에 내가 말야. 라떼(나 때)는 말이야 (라며) 현재와 미래가 없고 과거만 있는 그들”이라고 맹비난했다.
이런 가운데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금태섭 전 의원 등이 선거막판에서 힘을 합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4일 MBC라디오 방송에 출연한 주 원내대표는 “안철수 대표나 민주당을 탈당한 금태섭 전 의원이나 모두 이 정권과 민주당이 잘못하고 있다 이런 입장"이라면서 "(안대표가 서울시장 출마 가능성에 선을 긋는 건) 서울시장에 뜻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순간 그것이 성사되지 않으면 정치적 데미지가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확실히 반민주당 측 단일후보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높으면 움직(이지만) 그러기 전에는 논의하는 것조차 부담스럽지 않겠나”라며 “(당내 경선에서) 당원 비율을 아주 낮추고 일반 국민이나 여론조사 비율을 높이면 결심을 하기에 수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책임당원 투표 50%, 여론조사 50%로 돼있는데, 책임비율을 30%가 될지, 20%가 될지 아니면 10%가 될지 모르지만 대폭 낮춘다는 점에서 구성원들이 다 동의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경선 없는 추대 등 다른 ‘보장책’에 대해서는 “당헌당규가 경선으로 돼 있고, 그것을 피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