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8.29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극성 문 대통령 지지층의 환심을 사려는 당 대표 및 최고위원 후보자들의 구애 경쟁이 점입가경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김부겸 대표 후보와 이원욱 최고위원 후보처럼 ‘비문' 후보들의 발언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실제 평소 야당과도 대화가 되는 인물로 평가 받아온 김부겸 전 의원은 “전광훈 목사와 사랑제일교회 신도를 위시한 광화문 집회 주최자들의 배후에는 보수 야당인 미통당이 있는 듯하다”(지난 20일) “종교의 탈을 쓴 일부 극우세력이 코로나바이러스를 퍼뜨리고 있다”(22일)는 등 ‘통합당 음모론’을 주도하는 모양새다. 캠프 내부에서조차 “김 후보가 자기 색깔을 전혀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평소 당 안에서 합리적 중도 성향으로 분류됐던 이원욱 의원도 검찰에 대해 “개가 주인을 무는 꼴”(지난 16일)이라고 발언하는가 하면 “바이러스 테러범 방조한 김종인 위원장의 미통당(미래통합당)”(지난 22일)이라고 주장하는 등 발언 수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 “문재인 대통령님과 신동근의 공통점”이라며 학연(경희대 졸업)·지연(배우자가 인천 사람)을 언급하는 후보(신동근 의원)마저 나타났다.
전국 단위 선거의 경선을 앞두고 대거 모집되는 일반당원과 달리 당에 대한 주인의식이 강한 ‘강성 지지층’인 80만여명에 이르는 권리당원 표심 때문이다. 1인 2표인 점을 고려하면 160만여 표가 24일부터 나흘간 각 후보를 향해 움직인다. 이번 선거에서 권리당원 투표가 차지하는 비중은 40%다(전국대의원 45%, 국민 10%, 일반당원 5%).
민주당에서 ‘권리당원’은 최근 1년간(지난해 7월 1일부터 지난 6월 30일, 이번 전당대회 기준) 월 1000원 이상의 당비를 6회 이상 납부한 당원을 의미한다. 주로 온라인 입당으로 당적을 보유한 당원으로, 2017년 19대 대선 이후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특히 지난 대선을 전후로 합류한 대다수 권리당원은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가 강한 ‘극성 친문’으로 전체 권리당원의 약 30%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극성 친문’ 권리당원은 민주당 300만 당원 중 약 8%인 24만여명에 불과하지만, 당 소속 국회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 등 선출직 공직자들에게 ‘문자 폭탄’을 보내거나 포털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조직적으로 댓글을 달아 당내 여론을 좌우하며 위세를 부리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이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 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강성친문’ 경쟁에 나서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당내에선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수도권 중진 의원은 “국민보다 앞서 비전과 가치를 제시해야 하는데, 그런 것이 안 보인다”고 말했다. 지적했다.
조응천 의원도 지난 17일 페이스북에 “‘내가 대표가 되면 민주당을 이렇게 이끌 것이고, 내가 최고위원이 되면 당은 저렇게 달라질 것이다’라고 하시는 분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비판했다.
이는 최근 ‘아스팔트 우파’와 거리를 두면서 지지세가 약한 호남행을 택하는 등 중도층 회복을 위해 몸부림치는 미래통합당과는 대조적이다.
당 관계자는 “당원 구조가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이상 누가 당권을 잡아도 친문 권리당원의 입김에서 벗어나진 못할 것”이라며 “차기 지도부는 대선을 위해 최근 이탈 조짐이 뚜렷한 중도층 표심을 회복하는 게 최대 과제인 만큼 지금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야 할 텐데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 일각에서는 정책 측면에서 중도 성향을 보여 온 노웅래·양향자 최고위원 후보 등이 당선돼서 당 지도부에서 ‘다른 목소리’를 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