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구의회, '구민과 자립생활 공청회' 개최

    지방의회 / 여영준 기자 / 2021-04-21 17:11:32
    • 카카오톡 보내기
    "국가 재난 대응체계 마련을
    장애인 자가격리지원도 필요"
    ▲ 공청회에 참석한 도봉구의원 및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도봉구의회)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서울 도봉구의회(의장 박진식)가 최근 구의회 3층 제2위원회실에서 복지건설위원회와 도봉노적성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공동주최한 공론화사업 ‘구민과 함께하는 자립생활 공청회’를 개최했다.


    이날 공청회는 코로나19 재난·위기 속에서 지역장애인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들을 함께 공유하고 고민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박진식 의장과 이태용 복지건설위원장, 유기훈 행정기획위원장을 비롯해 복지건설위원회 강철웅·이경숙·이길연·조미애 의원과 행정기획위원회 이영숙, 이성민 의원이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또한 도봉노적성해CIL 센터장,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장, 새날동대문장애인자립생활센터장 등 10여명이 함께한 가운데 도봉노적성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 유튜브 채널을 통한 생중계도 진행됐다.

    2시간 가량 진행된 공청회는 노승희 도봉노적성해CIL 자립지원팀장의 사회로 주제별 패널 발표와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고, 당일 발제는 ▲‘장애인의 재난지원 관(官) 역할이 필요하다!’(류나연 도봉노적성해CIL 센터장) ▲‘코로나19 위기·재난 상황에서 지역의 장애인과 함께하는 방안 모색’(이상록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장) ▲‘긴급·재난 위기 시 제안’(도봉구의회 강철웅 의원)순서로 이뤄져 다양한 방향 제시 등 여러 의견을 주고 받았다.

    류나연 도봉노적성해CIL 센터장은 "전염병 등 재난 시 지역 주민이 접근할 수 있는 거점 센터나 병원, 예산 등 예방책은 지역에서 해결되어야 한다"며 장애인 거점 의료시설, 거점숙박센터 지정과 장애인 활동지원 예산확보, 지원예산 확보를 위한 조례제정을 제안했다.

    이상록 도봉장애인종합복지관장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의 위기·재난상황에서 장애인은 정보 접근성의 취약, 돌봄과 기존 서비스 체계 붕괴와 기본적인 생활지원 서비스제공 인력의 부족 등 다차원적인 어려움을 겪는다"고 밝혔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강철웅 의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장애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관(官)의 주도가 선행돼야 한다. 겪어보지 못한 재난상황 속에서 장애인, 취약계층에 대한 정확한 이해 부족으로 기존의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도봉구, 서울시 더 나아가 국가 전체적인 대응체계와 매뉴얼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의 경우에도 선택이 가능한 자가격리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