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일부 자료에 의하면 2019년 12월 기준으로 탈북민은 33,523명에 이른다.
국내 북한출생 초·중·고등학교 학생은 2,600여명 정도이며, 그 중에서 중국 등 제 3국 출생은 1600여명이다.
2015년부터 중국 등 제3국 출생의 아동 및 재학생들이 북한 출생보다 많아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300여명 넘게 일반 정규학교가 아닌 인가 대안학교에 재학중이며, 미인가 대안학교 학생은 통계조차 제대로 잡히지 않고 있다.
북한에서 태어나 남한에서 새롭게 교육을 받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수학·영어 등 주요과목을 일찍 배우는 남한의 학생과 학업을 경쟁한다는 것은 이질적인 문화 차이 이해, 학교 생활 적응도 함께 해야 하므로 첫 시작부터
너무나 버겁게 느껴진다는 설문조사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
학업의 부적응은 자칫 학교생활 부적응, 자존감 상실로 원만한 대인관계가 이뤄지기 어려워질 수도 있으며, 사회생활의 부적응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탈북학생이 우리나라 교육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교육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 그 일환으로 나이에 관계없이 학업에 뜻이 있는 학생을 위한 대학등록금 지원 제도, 대안학교 기숙사 지자체 그룹 홈 지원 혜택과 각 지역마다 지역아동 돌봄센터를 운영하는 등 교육 정책 대안이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이와 함께 학생들이 자신감을 갖고 학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전문심리상담사의 연계 방안도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
이들이 대한민국의 건강한 국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당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맞춤형 시스템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 한국에서 성취감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도록 다함께 따뜻한 관심을 기울여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