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2019년 노동생산성이 노동투입보다 부가가치가 더 큰 폭으로 상승하며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한국생산성본부는 6일 발표한 '2019년 노동생산성 동향'에서 전 산업 '노동생산성 지수'는 110.0으로 전년보다 1.4% 늘었다고 밝혔다.
노동생산성 지수는 노동투입량에 대한 부가가치와 산업생산 산출량의 비율로, 부가가치가 클수록 노동투입량이 작을수록 크게 나타난다.
특히 2019년 노동생산성 구성 요소 중 부가가치는 1.9%, 노동투입은 0.5%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부가가치는 정부 소비 증가율이 확대됐으나, 민간소비와 수출 증가율이 둔화하고 건설·설비 투자가 줄면서 증가 폭은 전년의 2.7%보다 낮아졌다.
또한 노동투입은 근로자 수 증가율이 커지고 근로시간 감소율이 축소되면서 2018년 -0.9%에서 반등했다.
이에 따라 전체 증가율은 전년 대비 3.6%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낮아졌다.
아울러 주 52시간 근로 정책에 따라 근로시간은 2018년 -1.8시간에서 2019년 -0.6시간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이와 관련 상용 근로자의 소정 실근로시간은 0.2% 줄어들었며, 초과 근로시간은 4.2% 감소해 근로시간 단축 시행이 초과근로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 수는 제조업에서 감소한 반면에 서비스업은 꾸준히 증가해 경제 전체적으로 서비스업의 고용 비중이 커졌다.
업종별 취업자 비중은 제조업의 경우 2015년보다 1.3%포인트 줄어든 16.3%, 서비스업은 0.6%포인트 늘어난 66.5%를 기록했다.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전년 대비 2.7% 증가한 116.6으로 집계됐다. 부가가치는 1.4% 증가했고, 노동투입은 근로자 수와 근로시간이 동반 감소해 1.3% 감소했다.
제조업 중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해당하는 중분류 12개 업종을 살펴본 결과, 2019년 노동생산성은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자동차·트레일러, 섬유, 1차 금속 등 4개 업종에서 증가하고 8개 업종에서 감소했다.
생산성본부 관계자는 "기계·장비, 자동차·트레일러 등 일부 업종에서 부가가치 둔화 또는 감소와 노동투입 감소가 함께 나타났다"며 "올해는 코로나19의 충격으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산업 전반에 확산할 것으로 예상돼 소비심리 개선을 통한 내수 확대, 선제적 고용대책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생산성본부는 6일 발표한 '2019년 노동생산성 동향'에서 전 산업 '노동생산성 지수'는 110.0으로 전년보다 1.4% 늘었다고 밝혔다.
노동생산성 지수는 노동투입량에 대한 부가가치와 산업생산 산출량의 비율로, 부가가치가 클수록 노동투입량이 작을수록 크게 나타난다.
특히 2019년 노동생산성 구성 요소 중 부가가치는 1.9%, 노동투입은 0.5%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부가가치는 정부 소비 증가율이 확대됐으나, 민간소비와 수출 증가율이 둔화하고 건설·설비 투자가 줄면서 증가 폭은 전년의 2.7%보다 낮아졌다.
또한 노동투입은 근로자 수 증가율이 커지고 근로시간 감소율이 축소되면서 2018년 -0.9%에서 반등했다.
이에 따라 전체 증가율은 전년 대비 3.6%의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낮아졌다.
아울러 주 52시간 근로 정책에 따라 근로시간은 2018년 -1.8시간에서 2019년 -0.6시간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이와 관련 상용 근로자의 소정 실근로시간은 0.2% 줄어들었며, 초과 근로시간은 4.2% 감소해 근로시간 단축 시행이 초과근로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 수는 제조업에서 감소한 반면에 서비스업은 꾸준히 증가해 경제 전체적으로 서비스업의 고용 비중이 커졌다.
업종별 취업자 비중은 제조업의 경우 2015년보다 1.3%포인트 줄어든 16.3%, 서비스업은 0.6%포인트 늘어난 66.5%를 기록했다.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전년 대비 2.7% 증가한 116.6으로 집계됐다. 부가가치는 1.4% 증가했고, 노동투입은 근로자 수와 근로시간이 동반 감소해 1.3% 감소했다.
제조업 중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해당하는 중분류 12개 업종을 살펴본 결과, 2019년 노동생산성은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자동차·트레일러, 섬유, 1차 금속 등 4개 업종에서 증가하고 8개 업종에서 감소했다.
생산성본부 관계자는 "기계·장비, 자동차·트레일러 등 일부 업종에서 부가가치 둔화 또는 감소와 노동투입 감소가 함께 나타났다"며 "올해는 코로나19의 충격으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산업 전반에 확산할 것으로 예상돼 소비심리 개선을 통한 내수 확대, 선제적 고용대책 등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