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1일은 틀니의 날…틀니세정제로 틀니 관리하세요~

    생활 / 이대우 기자 / 2020-06-29 01:00:00
    • 카카오톡 보내기
     
    7월 1일은 ‘틀니의 날’이다. 대한치과보철학회가 2016년 국민 구강 건강을 지키고, 치아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정했다. 

     

    7월 1일을 틀니의 날로 지정한 이유는 2012년 75세 이상 어르신에게 틀니가 건강보험 급여 대상이 된 날과 2016년 틀니 급여를 받는 연령이 65세 이상으로 확대 적용되기 시작한 날이 모두 7월 1일이었기 때문이다. 틀니의 날을 맞아 올바른 틀니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틀니, 치약으로 닦으면 연마제 성분 때문에 금이 가거나 마모 될 수도


    틀니는 저작 등 치아 기능을 보완해 노인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틀니 관리를 잘못하면 입 속 염증이나 세균감염 등으로 구강건강을 해치고, 심할 경우 페렴이나 당뇨병까지 유발할 수 있다.

    실제 국내 틀니 사용자 10명 중 7명이 틀니 사용 이후 의치성 구내염을 앓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치과보철학회가 60세 이상 틀니 사용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틀니관리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틀니 사용자의 69.6%는 틀니를 사용한 후 잇몸 염증, 잇몸 출혈, 구취 등 다양한 구강 증상을 경험했다.

    이 같은 증상은 틀니 사용이 익숙하지 않거나 관리가 올바르지 않아 발생한 의치성 구내염 증상일 수 있다. 의치성 구내염은 혀, 잇몸, 입술 등 입안 점막 및 입 주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틀니는 무엇보다 관리가 중요하다. 자연치아를 닦을 때 쓰는 치약으로 틀니를 닦는 것은 좋지 않다. 틀니는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이라 강도가 자연치아보다 약하다. 치약으로 닦으면 연마제 성분에 의해 틀니 표면에 금이 가고 마모현상까지 일어날 수 있으며, 그 틈새로 구내염 및 구취를 유발하는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틀니는 입안을 물로 깨끗이 헹군 후 탈·부착하고 뺄 때는 틀니를 천천히 흔들어 제거한다. 틀니를 세척할 때는 부드러운 재질의 틀니 전용 칫솔과 틀니세정제를 사용한다.

    틀니는 취침 전에 빼놓고 자야 뒤틀림 등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틀니를 보관할 때는 변형이나 세균 증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깨끗한 찬물에 담가 놓아야 한다.

    틀니가 헐겁거나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면 잇몸과 틀니 틈새로 음식물이 쌓여 통증과 구취, 잇몸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정기검진으로 틀니 조정을 받는 것이 좋다.

    ■ 무색소, 무보존제 틀니건강까지 생각한 틀니세정제 동아제약 ‘클리덴트’


    시중에 있는 틀니세정제 중 무색소, 무보존제이지만 99.9%까지 살균하는 동아제약 틀니세정제 ‘클리덴트’가 주목 받고 있다.

    틀니세정제 클리덴트는 틀니에 침착된 얼룩과 플라그를 제거하며 구취 유발균을 살균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성분인 에버라제가 틀니에 남아 있는 단백질을 분해 및 제거해 틀니를 더욱 깔끔하게 세정해준다.

    또한, 민트향을 더해 세정 후 틀니를 사용했을 때 입 안 가득 상쾌함을 느낄 수 있다. 특히, 클리덴트는 색깔을 낼 때 쓰이는 타르색소가 들어 있지 않아 세정제가 물에 녹아도 투명한 상태가 지속된다. 보존제도 첨가되지 않아 보다 안심하고 이용 할 수 있다.

    클리덴트 사용법은 하루 1회 틀니 세정컵에 미온수 150~200m L를 붓고 틀니와 클리덴트 1정을 넣고 5분간 담궈 놓으면 된다. 60도씨 이상의 뜨거운 물은 사용하지 않는다. 세정 후에는 틀니를 흐르는 물에 가볍게 헹구고 착용하면 된다. 취침 전 클리덴트를 넣은 세정액 속에 틀니를 넣고 다음날 아침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