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첫째, 저금리 대출 등 전화나 문자를 받으면 반드시 해당 은행을 방문해 확인한다.
둘째, 은행 직원을 보낼 테니 돈을 건네 달라고 하면 100% 사기이니 즉시 전화를 끊고 112에 신고한다.
셋째, 은행 사칭 대출 외에도 ‘재난지원금 차원에서 종합소득세 일부를 반환해준다’ 또는 ‘직원을 4대 보험에 가입시키면 1년에 걸쳐 일정 금액을 지원해준다’ 등 다양한 피해 사례를 숙지하자.
넷째, 출처가 불분명한 앱은 설치하면 안 되고,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받은 인터넷 주소를 무심코 클릭하는 경우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눌러서는 안 된다.
최근 연수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적인 어려운 상황을 이용, 치밀하게 진화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금융기관, 유관기관 등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다양한 홍보활동을 적극 전개해나가고 있다.
서민들의 절박한 심리를 악용하고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게 만드는 보이스피싱 피해를 보면서, 홍보가 중요하다는 사회적 인식 확산이 절실하다.
위 보이스피싱 대처 요령을 주변에 꾸준히 홍보하여, 힘들게 번 돈을 사기 당하지 않도록 함께 노력해나가는 등 피해를 최대한 근절해나갔으면 하는 작은 바람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