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일각 "수신제가도 못하면서 외연확장? 당보단 개인 위한 것"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5.18 무릎' 사과 등 호남 공략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는 국민의힘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18일 사의를 표명한 김선동 사무총장 후임으로 호남출신 원외인사인 정양석 전 의원을 내정하는 등 호남 배려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갈길이 멀다는 지적도 있다.
당 관계자는 “이념적 외연을 보수진영에서 중도층으로 확장하는 동시에 지역적으로 호남을 아울러야만 정권을 되찾아올 수 있다는 판단이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전남 보성이 고향인 정 전 의원이 사무총장으로 내정된 배경에 대해서도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최근 서울시 인구 구성 비율을 보면 호남지역 사람들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당의 사활이 걸린 내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필승하려면 호남을 배려해 서울의 '호남 표심'을 반드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당직자 생활을 하던 중 지난 18대 총선을 통해 서울 강북갑을 지역구로 국회에 입성한 정 전 의원은 재선 출신으로 현재 서울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다.
김 전 의원 내정 건 말고도 여권의 '호남홀대론' 틈새를 파고드는 김종인 위원장의 갖가지 파격행보가 관심을 끌고 있다.
실제 김 위원장은 지난 8월 광주 5·18 묘역을 찾아 추모탑을 찾아 헌화하면서 사죄의 뜻으로 무릎을 꿇었고 당 기구인 국민통합위원회를 통해 호남지역 인재 육성을 위해 ‘비례대표 25% 호남 우선 추천’ 방안을 의결했다. 또한 이달 말 국감이 마무리되면 원내지도부와 예산결산 위원들이 호남을 방문해 호남의 주요 현안과 예산을 직접 챙기겠다는 방침을 예고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의 파격적인 '서진정책'에 대해 보수정당의 텃밭인 영남에서 호남으로 외연을 넓히기 위한 차원이라며 긍정 평가하는 분위기가 있는 반면 당권장악을 위한 노림수로 보는 시각도 있다.
당내 지지기반이 취약한 김 위원장이 '호남 카드'를 내세워 당내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수신제가'도 못한 국민의힘이 호남부터 끌어안겠다는 발상은 우선 순위가 틀렸다"며 "당은 물론 분열된 지지층 결집 문제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면서 외연확장 운운하는 자체가 요설에 불과하다"고 직격했다.
이어 "개인기에 의존한 김 위원장 리더십은 1년으로 못박힌 시한부 권력으로 그 한계가 이미 노출된 상태"라며 "그런 의미에서 국민의힘의 호남 끌어안기는 당 보다는 개인을 위한 고육지책 차원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정교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