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천대학교 외부 전경 |
28일 인천대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중앙아시아 6개국과의 과학기술 및 ICT 분야 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국제협력 프로젝트로 인천대는 향후 3년간 17.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 협력 거점 센터를 구축·운영하게 된다.
이번 선정으로 인천대학교는 한국과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 허브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며 국제 공동연구, 기술 실증, 인재 교류 등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본 사업은 한국의 과학기술 기반을 중심으로 기후, 환경, 방재, 에너지, ICT 등 공통 관심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중앙아시아 과학기술협력센터’ 사업은 8월 1일부터 2028년 7월 30일까지 3년간 추진된다.
인천교는 센터장인 이희관 교수(대학원 기후국제협력학과)를 중심으로 교수, 연구원, 외부 전문가 등 15명의 전문 인력을 구성해 사업을 이끌게 된다. 총사업비는 17.9억 원으로 국비 12억 원을 비롯해 교비 1.2억 원 등이 투입된다.
사업은 환경융합기술연구원이 주관 운영을 맡고 대학원 기후국제협력학과, KOICA 석·박사학위 연수사업단, 아시아환경에너지연구원, 인천강소연구개발특구 등 다양한 부서 및 기관이 협력하게 된다.
사업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눠 추진된다. 1차년도(2025년 하반기)에는 센터 기반 조성과 인재 발굴, 국제 컨퍼런스를 통해 협력 구조를 마련하며 2~3차년도에는 공동 연구와 기술 협력과제 실행, ODA(공적개발원조) 연계 등을 통해 실질적인 협력을 본격화한다.
이희관 센터장은 “이번 협력센터 수주는 인천대학교의 국제협력 역량과 과학기술 전문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한국과 중앙아시아 간 상호 발전과 미래지향적 협력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