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지 국감 출석, 與 “오전만” vs 野 “오후까지”

    정당/국회 / 여영준 기자 / 2025-10-29 10:55:01
    • 카카오톡 보내기
    李 대통령 지시에도 여야 협의 안 돼 증인 채택 불발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 출석에 대해 국회 결정을 따르라고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최근 참모들과의 회의에서 김 1부속실장의 국감 출석에 대해 “그 간의 대통령실 관례와 국회 의결에 따르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국회에서 여야가 합의한 결과에 따라서 출석 여부를 결정하라는 취지다.


    하지만 여야는 대통령실 소관 상임위인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를 하루 앞둔 전날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비롯한 주요 증인 채택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협상에 나섰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운영위 여야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문진석ㆍ국민의힘 유상범 원내수석부대표는 전날 오후 국회에서 2시간가량 증인 채택 문제를 논의했으나 합의에 실패한 것.


    민주당은 대통령실 국감 당일 오전에만 김 실장을 증인으로 출석시키자고 제안했으나, 국민의힘은 오후까지 남아서 국감을 받아야 한다고 맞섰다.


    문 수석부대표는 “김 실장이 국감 당일 오후 2시 대통령 일정을 소화해야 해 오전 중으로 출석토록 하자고 했는데, 저쪽에서 받아주지 않아 결렬됐다”고 전했다.


    반면 유 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은 국감 당일 오전에만 증인으로 출석시키겠다고 했는데 오전에는 각종 업무보고가 진행되므로 사실상 1시간밖에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는 것이다. 형식적으로 출석 명분쌓기용”이라며 “적어도 주질의 시간 전체에 출석해 질문에 답해야 수많은 의혹 해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는 이날 오전 9시40분쯤 페이스북에 이날 나온 채널A <이 대통령 “김현지, 국감 나가야”… 당에 협의 뜻 전달, 결론은 ‘불발’> 기사를 공유, “과방위에서는 인사청문회를 하면서도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 한 사람에 대해서 3일씩 진행하기도 했다. 그 과정에 방통위 직원 한 분은 건강 문제가 발생해 119가 출동해야 할 정도로 진행됐다”고 과거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시기 청문회 진행 사례를 들면서 비판했다.


    특히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에 대해 달렸던 조건인 ‘오전 출석’을 두고 “보통 오전 국감은 10시에 시작하고 국회의원이 한사람에 7분씩 질의 한번 하면 딱 질문 한번 하고 오전 일정은 끝난다. 보통 오후 일정은 2시쯤 시작해서 7시쯤까지 진행되고 필요에 따라 밤늦게까지 이어진다”면서 “어떻게든 김현지 여사에 대한 질문을 할 기회를 최소화해서 막아보고 부정적인 여론은 잠재워보고자 오전 참석이라는 카드로 생색만 내보려고 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을 향해 “너무 수가 얕다. 정치를 좀 대국적으로 하시라”고 꼬집었다.


    한편 김 부속실장과 별개로 민주당은 대통령실 국감에 ‘12.3’ 내란의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정진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한 50명가량을 일반 증인으로 부를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임명 배후에 김 부속실장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김인호 산림청장과 전직 경기도청 5급 별정직 공무원 배 모씨, 김 부속실장의 배우자인 세무사 최 모씨,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후 설화로 사퇴한 이상경 전 국토교통부 1차관 등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