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기현 “직접 서명 해놓고...합의 번복 논리 군색하고 쪽팔려”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여야가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을 처리하면서 정권 초반 협치의 불씨를 살려갈 수 있을 것이란 기대와 함께 당장 21대 국회 후반기 원(院) 구성 협상에서 여야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을 국민의힘에 넘겨주는 내용의 기존 합의안을 원점 재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국민의힘은 애초 합의대로 법사위원장을 달라며 맞서는 형국이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22일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전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을 국민의힘에 줄 수 없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에 대해 "합의 번복 논리가 군색하고 쪽팔리기까지 하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민주당 윤호중 비대위원장이 국회 후반기 원 구성 협상의 핵심인 법사위원장 자리를 '국민의힘에 주기가 어렵다'고 했다. 헛웃음만 나온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맡았던 지난해 7월23일 박병석 국회의장 주재로 윤호중 당시 민주당 원내대표와 회동, 21대 국회 전반기 상임위원장 재배분 협상을 타결했다. 당시 여야는 21대 후반기 상임위원장 배분은 교섭단체 의석수에 따라 하되, 법사위원장은 국민의힘이 맡는 것에 동의했다.
하지만 윤 공동비대위원장은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회 후반기 원 구성 협상의 핵심인 법제사법위원장 자리를 국민의힘이 가져갈지 문제와 관련 “당의 입장을 정한 것은 아니지만, 제가 볼 때는 후반기 법사위원장을 국민의힘에 주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검부가 전부 장악해 사실상 검찰 쿠데타가 완성돼있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그것을 견제할 만한 사람은 국회에 법사위원장밖에 없다”며 “(국민의힘이) 법사위원장까지 가져간다면 대한민국은 제동 장치 없는 검찰왕국이 될 것이라는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여당이) 이런 부분들을 먼저 보정해놓고 법사위원장을 달라고 해야 하는 거 아니냐”고 했다.
이에 김 의원은 "전임 원내대표로서 저와 함께 협상하고 직접 합의안에 서명까지 한 윤 위원장의 합의 번복 논리가 군색맞고 쪽팔리기까지 하다"며 "저 같으면 정치 안 하면 안 했지 쪽팔리게 정치하지 않겠다"고 거칠게 비판했다.
이어 "온갖 꼼수를 거듭하며 국회 역사에 치명적 수치를 남기면서 검수완박을 하는 불법 현장에서, 국회의원의 당연한 헌법적 기본권인 저항권을 행사한 저 김기현에게 없는 죄 뒤집어 씌우며 표적 징계까지 한 민주당이 무슨 낯짝으로 '검찰쿠데타' 운운 타령하나"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폐족당하는 소탐대실의 길을 계속 고집하면서 당리당략에 따라 수시로 불법과 탈법을 일삼는 반(反)지성적 민주당, 꼼수와 생떼 전문 민주당에게 남은 건 오직 국민의 회초리뿐이라는 사실이 며칠 후면 곧 드러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