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겨울철은 다른 계절 대비 화재 발생건수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점유율도 가장 높다.
최근 10년간 전체 화재에서 주책 화재 발생률 약 18%인 반면, 화재 사망자 비율은 47%(절반)이 주택에서 발생했다.
이렇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을 할 수 있는 1대 이상의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 등 주택용 소방시설을 반드시 구비해야 한다.
화재가 발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초기진압이며, 이때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소화기이다. 초기 화재진압에 있어 소화기는 소방차 한 대의 위력과 맞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평소에 소화기 활용법을 잘 숙지해 둬야 한다. 또한 화재가 발생할 때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석진 위치가 아니라 잘 보이는 위치에 둬야 하며 올바른 관리를 위해서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위아래로 흔들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소방시설이며, 화재 발생 시 경보음 울려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거나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실제로도 단독경보형 감지기로 인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거나 피해를 줄였던 사례들이 다수 존재한다.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침실, 거실 주방 등 구획된 실마다 1개 이상 천장에 설치해야 하며, 감지기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기가 자주 발생하는 주방(밥솥 위)과 화장실은 설치하지 않는 게 좋다.
예고 없이 찾아오는 화재로부터 나와 내 가족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방법인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스스로가 안전에 대한 노력을 기울일 때, 우리의 일상생활은 더욱 안전하고 행복해질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