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방청 출동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9∼2021년) 산악사고는 총 3만2210건 발생했다. 연평균 1만736건꼴이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일반·조난 8021건, 실족·추락 7575건, 개인 질환 2798건, 탈진·탈수 1779건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10월에 발생한 사고가 3년간 4416건(13.7%)으로 가장 많았다.
행정안전부는 가을철 등산 사고를 예방하려면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첫째 산행을 나서기 전에는 등산로와 산행 소요시간, 대피소, 산악날씨 등의 산행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출발하도록 한다.
둘째 산행은 가벼운 몸풀기로 시작하여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를 선택하고, 산행 중이라도 몸에 무리가 오면 즉시 하산하도록 한다.
셋째 산행은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고 입산이 통제된 위험, 금지구역은 절대 출입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가벼운 타박상이나 긁힘 등 사고에 대비하여 반창고, 붕대 등이 들어있는 간단한 구급약을 챙기고, 유사시 먹을 수 있는 비상식량도 챙겨가도록 한다.
다섯째 추분(9월23일)을 지나며 낮의 길이가 점점 줄어들고, 특히 산에서는 생각보다 빨리 어두워져 조난 등 사고로 이어지기 쉬우므로,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해서 해가 지기 한두 시간 전에 마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길을 잃어버렸을 때는 헤매지 말고 왔던 길을 따라 아는 곳까지 되돌아오도록 한다.
일곱쨰 갑자기 기온이 낮아지거나 찬 바람이 불 때 덧입을 수 있는 여벌의 옷과 장갑 등을 챙겨 추위에 대비해야 한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