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구의 '소각제로가게'는 7곳으로 늘어났다.
구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소각제로가게 1호점의 시범운영 이후 지난 5월까지 소각제로가게 한 곳에서 플라스틱 3743kg, 종이 4478kg, 캔 620kg 등 재활용가능자원 총 11.2톤이 수거됐다.
이에 구는 ‘소각 없는 도시’ 조성을 위한 청사진인 '서울특별시 마포구 폐기물감량에 관한 조례'를 바탕으로 올해 본격적인 소각제로가게 확대에 돌입, 10일 소각제로가게 6곳을 추가 설치했다.
기존 1호점(마포중앙도서관)에 이어 이달 새로 문을 연 소각제로가게 6곳은 ▲홍대 레드로드 R1 ▲용강동 주민센터 ▲망원1동 주민센터 ▲마포아트센터 ▲마포구민체육센터를 포함한 공공시설형 5곳과 ▲망원1차 대림아파트다.
특히 이 가운데 망원1차대림아파트 내 소각제로가게는 공공시설이 아닌 민간 공동주택 내에 설치되는 첫 아파트형 소각제로가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번에 설치하는 ‘소각제로가게’는 가로 6m, 세로 3m 크기로, 내부에는 비닐, 캔, 플라스틱, 의류 등 재활용품 수거함을 배치했고 투명페트병과 캔에 사용되는 압착기도 설치 예정이다.
소각제로가게 이용 시간은 화·목요일 오전 11시~오후 6시(레드로드 R1점은 월~금요일 오전 11시~오후 6시)다.
구는 공공시설형 소각제로가게 6곳에 자원관리사를 둬 재활용 처리 방법을 안내하는 한편, 배출 품목과 양에 따라 종량제봉투 등을 보상 지급해 주민의 참여를 유도겠다는 방침이다.
박강수 구청장은 “쓰레기를 무조건 매립 소각하는 구시대적 발상에서 벗어나 쓰레기를 올바르게 처리하고 줄이는 거시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소각제로가게가 어린이부터 주민 누구나 올바른 쓰레기 배출 방법을 배우고 실천하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생활폐기물 감량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위해 시민 모두가 함께 노력해주시길 간곡히 바란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