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개혁안, 세대 간 형평성과 안정성을 위한 해법 모색

    칼럼 / 시민일보 / 2024-09-12 14:37:01
    • 카카오톡 보내기

     
    김정겸 전 한국외대 철학과 겸임교수



    정부의 연금개혁안 논란은 연금 보험료를 4% 더 걷는데, 자동조정장치 도입으로 인해 생애총급여액이 17% 삭감된다는 내용에서 출발한다. 다음은 정부의 연금 개혁안 3가지, 즉 보험료율(얼마를 더 내야 하는가?), 소득대체율(실제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가?), 자동조정장치(경제 변수에 따라 보험료율이나 소득대체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장치) 등으로 살펴본다.

    첫째, 보험료율 9%에서 13% 상향-소득대체율(연금수령액)은 42% 하향 조정: 세대 간 형평성 확보 방안
    27년 만에 인상되는 보험 요율과 50%에서 42%로 점점 줄어드는 소득대체율은 “많이 내고 적게 받는 구조적 모순”이라는 지적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정부가 보험료 인상과 소득대체율 조정에 있어 세대 간 형평성을 고려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험료 인상 속도를 세대별로 조정하는 대신, 모든 세대가 공평하게 부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험료 인상률을 일정 비율로 고정하고, 소득대체율을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소득대체율을 50%로 인상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노후 소득 보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보험료율 인상 속도를 연령그룹별로 다르게 적용함으로서 세대별 보험료 부담: 공정한 부담 분배 방안
    보험료율이 13%로 인상되면 납입 기간이 많이 남아있는 젊은 세대는 보험료 부담이 높아 질 수밖에 없다. 그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세대별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보험료 인상 속도를 조정할 때, 연령대별 소득 수준과 납입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젊은 세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을 감안하여 초기 보험료 인상 폭을 줄이고, 대신 장기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세대 간의 형평성을 고려한 추가적인 재정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젊은 세대가 느끼는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물가 인상률, 기대 여명, 가입자 수 등의 변화를 반영하여 보험료와 수급액을 조정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 안정성과 투명성 확보 방안
    자동조정장치의 도입은 연금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동시에 수급액이 삭감될 가능성도 있어 이에 대한 우려와 논란이 존재한다.


    그 해결방안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따른 연금액 삭감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이 장치의 작동 기준과 시점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또한, 자동조정장치의 작동이 연금 수급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여 수급액이 급격히 감소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물가 상승률과 기대여명 변화에 따라 조정하되, 일정 범위 내에서만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규정을 두어 수급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연금개혁안의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논란을 최소화하고, 세대 간 형평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금개혁안은 세대 간 형평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고려한 방안으로, 모든 세대가 공평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세대 간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국민의 노후를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연금개혁은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니라, 미래 세대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모든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열린 논의가 필요하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