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남성 유아휴직자' 4만 1829명 … 30% 첫 돌파

    사회 / 박소진 기자 / 2025-02-23 14:45:46
    • 카카오톡 보내기
    일-가정 양립제도 수급 25만여명 … 1년새 7.2%↑
    올들으 男육아휴직 전년比 69%↑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중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024년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 수가 25만6771명으로, 전년도 23만9529명보다 1만7242명(7.2%)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노동부에 따르면 이중 육아휴직자는 13만2535명으로, 2023년 12만6008명 대비 6527명(5.2%) 늘었다.

    출생아 수 감소 추세로 2023년 다소 줄었던 육아휴직 사용자는 일·가정 양립 제도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다시 증가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는 4만1829명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해 제도 시행 이래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2023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5336명으로, 전체의 28%였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2015년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4872명(5.6%)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9년 새 9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증가세는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올해 1월 1일 이후 30일 영업일 기준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9.2% 늘어났다. 전체 육아휴직 사용자 수 증가율 42.6%를 웃돈다.

    자녀 연령별로는 부모의 돌봄이 가장 필요한 0세(생후 12개월 이내) 육아휴직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80.0%(2.1%포인트↑), 남성은 46.5%(7.5%포인트↑)가 자녀 0세 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지난해 중소기업 소속 육아휴직자는 7만5311명(56.8%)으로, 2023년 대비 1.2%포인트 증가했다.

    100인 미만 소속 근로자도 6만128명(45.4%)으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늘었다.

    육아휴직 평균 사용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9.4개월, 남성은 7.6개월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