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섬웨어 복구 대가' 가상자산 北 송금한 정황도
이번 해킹으로 경찰은 총 1.2테라바이트(TB) 분량의 기술·자료 파일이 탈취된 것으로 보고 있다.
4일 서울경찰청 안보수사지원과에 따르면 현재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공조해 안다리엘이 국내 업체들을 상대로 해킹 공격을 한 사실을 확인해 수사 중이다.
안다리엘은 통신·보안·IT 서비스 업계 국내 대기업 자회사와 첨단과학기술·식품·생물학 등을 다루는 국내 기술원·연구소, 대학교, 제약회사, 방산업체, 금융회사 등 수십 곳을 해킹해 레이저 대공무기를 비롯한 주요 기술자료를 빼돌렸다.
이 과정에서 서버 사용자 계정의 아이디·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도 새어 나갔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2022년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국제통신국과 평양정보센터 등이 있는 평양 류경동에서 83차례 접속했다.
특히 경찰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신원이 불명확한 가입자에게도 서버를 임대하는 지역내 서버임대업체를 이용, 경유지 서버로 삼으며 범행을 저질렀다.
경찰은 해킹 피해를 입은 업체들에 통보했으나 대부분은 피해조차 인지하지 못한 상태였으며, 기업 신뢰도 하락을 우려해 신고하지 않은 곳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안다리엘은 또 랜섬웨어를 유포해 국내 업체 3곳에서 컴퓨터 시스템 복구비로 4억7000여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받아냈으며, 이 중 일부는 북한으로 보내진 것으로 추정된다.
경찰은 국내·외 가상자산 거래소 거래 내역을 압수해 분석했으며, 그 결과 외국인 여성 A씨의 계좌를 거쳐 약 63만위안(약 1억1000만원)이 중국 K 은행으로 보내졌고, 이 돈이 북·중 접경지역에 위치한 지점에서 출금됐다며 자금이 북한으로 흘러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A씨는 경찰 진술에서 자금세탁 연루 혐의를 부인했으나 경찰은 그를 피의자로 입건하고 금융계좌, 휴대전화,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해 자금세탁책으로 활동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경찰은 추가 피해 사례와 유사 해킹 시도 가능성을 수사하는 한편 범죄에 활용되는 서버 임대업체들에 대해서도 수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