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중근 회장이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부영그룹 제공) |
[시민일보 = 박소진 기자] 한국전쟁에 참전한 유엔 참전용사들의 헌신과 희생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해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제안해 온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유엔 창설 80주년을 맞아 열린 ‘유엔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부산시는 유엔 창설 80주년을 기념해 유엔 설립일이기도 한 10월 24일, 부산 UN기념공원에서 ‘제80주년 유엔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무랏 타메르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의장 및 외교사절, 보훈단체, 재부기관장, 군장병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이중근 회장은 낯선 땅 한국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 걸고 싸운 유엔군을 기리며 UN기념공원 상징묘역을 향해 직접 헌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회장은 헌화를 마치며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전투 16개국, 의료 6개국, 물자 38개국)이 유엔 창설 이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다”라며 “유엔군의 희생 덕분에 오늘날 세계 경제 10위권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었던 만큼 동방예의지국의 면모를 갖춰 유엔군의 헌신에 대한 감사함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국가 공휴일로 재지정할 것을 다시 한 번 제안한다”고 말했다.
유엔데이는 국제 평화와 안전을 목표로 UN이 창설·발족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5년까지 법정공휴일이었으나, 북한이 1976년 유엔 산하 기구에 가입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1976년 공휴일 지정을 폐지했다.
이중근 회장은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 제안에 앞서 유엔 참전용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2015년 용산 전쟁기념관 평화의 광장에 2.7m 높이에 국가별 상징작품과 승리의 상징 월계관 등이 새겨진 23개(한국 포함) 유엔참전국 참전비 건립비용을 지원한 바 있다. 해당 기념물은 현재 부산 UN기념공원과 함께 전 세계 2개뿐인 유엔참전유산으로 각 국의 참전용사를 추모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이 외에도 이 회장은 올바른 역사 인식을 전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을 일지 형태로 기록하고 나열하는 ‘우정체(宇庭体)’ 기술 방식으로 저술한 역사서 ‘6·25전쟁 1129일’을 국내외 기관과 해외 참전국에 1000만부 이상 무상으로 배포하기도 했다.
부영그룹 역시 2023년 공군 하늘사랑장학재단에 100억원을 기부한 것을 시작으로 ▲국가보훈부 ‘제복의 영웅들’ 프로젝트 후원 ▲6·25재단 후원금 10만 달러 기탁 ▲격오지 부대 시설개선 지원 28억원 기증 ▲군부대 위문품 전달 등 꾸준한 호국보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 회장의 이 같은 노력에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지난 8월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공휴일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양 의원 측은 ‘대한민국이 전 세계로부터 받은 헌신과 희생을 기억하고 추모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유엔 설립일인 매년 10월 24일을 공휴일인 ‘유엔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하려는 것’이라며 그 취지를 설명했다. 이밖에도 이 회장은 지난 9월 40만 명이 동참한 ‘유엔데이 공휴일 재지정 서명부’를 국회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