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전담 요양시설 확충 등 3년간 12개 사업 추진
내년 모든 60세 이상 치료비 年 최대 36만원 지원
[남악=황승순 기자] 전남도가 매년 증가하는 치매 가족의 고통과 부담 경감을 위해 ‘전남형 치매 돌봄제 종합대책’을 마련, 2025년까지 976억원을 투입해 예방, 치료, 돌봄, 교육연구 등 4개 분야 12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고 밝혔다.
전남은 노인인구 비율이 25.2%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치매 유병률 또한 12.19%로 전국 평균(10.38%)을 웃돌고 있다.
‘전남형 치매 돌봄제 종합대책’은 치매 전문가·가족, 현장 종사자 등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수립했다.
치매 예방을 위해 치매 조기 검진을 대폭 확대한다.
치매 고위험군인 경도장애 4000명, 인지 저하 1만명, 75세 진입자 2만1000명 등 총 3만5000명을 1년 주기로 조기 검진한다.
또 60세 이상 일반 관리군 54만3000명을 3년 주기로 추진한다.
치매 조기 검진은 시ㆍ군 보건소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면 받을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위해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찾아가는 치매 조기 검진도 추진하고 섬 주민을 위해 병원선에 치매 검진센터도 운영할 방침이다.
치매 조기 검진 인원수는 코로나 이전 연간 10만명 이상이었으나 코로나 대응 기간인 2020년부터 2022년에는 7000명대로 줄었다.
현재 정부 정책으로 중위소득 120% 이하 대상으로 지원한 치료비 지원 대상을 전남도가 전국 최초로 2024년부터 60세 이상 전도민으로 확대해 치료비 부담 완화를 지원한다.
진료비와 약제비를 월 3만원까지 연간 최대 36만원을 지원한다. 병원 약제비 영수증을 보건소에 제출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치매 돌봄 강화를 위해선 치매 전담형 노인요양시설, 치매 안심병원을 확충한다.
또 치매 환자가 살던 곳에서 안심하고 자유롭게 살도록 치매 안심마을 125곳을 지정할 계획이다.
체계적인 돌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치매 안심 관리사를 210명으로 확대 양성한다.
치매 환자와 가족의 상담·치유를 위해 장흥통합의료병원과 연계한 마음건강 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종 대응 체계 구축 등 지역 공동체와 함께하는 다양한 방안도 마련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