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광주광역시, 5일 시청 세미나1실에서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성과 및 2025년 사업 계획 심의‧조정 회의' 개최 / 광주광역시 제공 |
[광주=정찬남 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5일 시청 세미나1실에서 노인일자리창출위원회를 열어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 추진 성과 및 2025년 사업 계획’을 심의‧조정했다.
광주시노인일자리창출위원회는 조례에서 정한 ‘노인일자리사업 추진계획 수립’, ‘노인일자리 직종 개발 및 노인 우선적 고용 권장’, ‘노인일자리 창출 지원’, ‘노인일자리 창출 기업체’ 등과 협약 체결 등을 심의‧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내년 광주시 노인일자리사업은 ‘든든한 노후, 보람있는 광주’를 비전으로 다양한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지역 노인인구(34만9455명)의 10% 수준인 3만6348명의 노인일자리 창출을 성과지표로 삼았다.
어르신들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인일자리와 사회활동 지원으로 초고령사회 및 지속적인 노인인구 증가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광주시는 내년 노인일자리사업에 1551억 원의 예산을 투입, 노인공익활동사업, 노인역량활용사업, 공동체사업단, 취업지원(취업알선형) 등 3만6348명의 일자리사업을 추진한다. 이는 올해 3만2370명보다 3978명(12.3%) 늘어난 것이다.
광주시는 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국가유공자 가점이 신설되고 가족인 요양보호사 참여가 허용되는 등 자격 기준을 확대했다. 또 아이돌봄사업, 하교 안전 관리 지원 등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일자리를 확충할 방침이다.
여기에 ‘광주다움 통합돌봄 모니터링단’, ‘고독사 예방 안부 톡톡 서비스’, ‘사회적약자 병원동행 서비스’ 등 신노년세대 역량을 활용한 일자리를 추진, 시행 3년을 맞는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빈틈없는 서비스에 힘을 보탠다.
광주시는 지난 11월13일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의체 회의를 열어 2025년 사업추진방향 등을 논의한 데 이어 11월14일 광주시니어클럽협회 주관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 성과평가회를 개최해 우수사례 공유 및 유공자 표창 등을 진행했다.
한편 광주시는 올해 노인일자리사업에 1344억 원의 예산을 투입, 3만2370명의 어르신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5개 자치구와 5개 시니어클럽 등 65개 일자리 수행기관, 426개 사업단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주요 사업유형 별 참여 인원은 노인공익활동사업 2만4054명, 노인역량활용사업 4652명, 공동체사업단 2495명, 취업 알선 1169명이었다. 신노년세대 역량을 활용한 노인 역량 활용 사업과 공동체사업단 사업량을 2023년보다 3000여 명 늘려 노인일자리의 다양성을 강화했다.
김영화 고령사회정책과장은 “초고령사회와 지속적인 노인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경험‧역량 높은 신노년세대 수요에 맞춘 다양한 일자리 제공으로 소득 보전과 활기찬 노후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