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개 저감사업 계획 수립
[인천=문찬식 기자] 인천시가 올해 미세먼지 저감사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기질 개선을 목표로 6개 분야 85개 사업에 총 2551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올해 미세먼지 저감사업은 ▲비산먼지 ▲항만ㆍ항공 ▲발전ㆍ산업 ▲농업ㆍ생활 ▲수송 ▲측정ㆍ분석 등 6개 분야로 추진된다.
지난 2024년보다 9개 사업을 추가해 총 85개 사업으로 확대했으며, 분야별 미세먼지 저감 대책도 한층 강화했다.
지난 2024년 사업 결과에 따르면 총사업비 2643억원 중 2501억원(94.6%)을 집행했으며, 6개 분야 76개 사업 중 74개 사업(98%)이 정상적으로 추진됐다.
또한 시의 지난 2024년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19㎍/㎥으로 2015년 관측 시작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좋음ㆍ보통’ 등급의 일수는 343일로 전년 대비 19일 증가했으며, ‘매우 나쁨’ 등급의 일수는 단 하루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시가 다양한 감축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로, 대기질 개선 효과가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는 지난 2024년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제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해 배출 저감 조치를 강화하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을 줄여 시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추진 내용으로는 ▲시민건강 보호 ▲핵심 배출원 감축ㆍ관리(산업ㆍ발전ㆍ수송) ▲미세먼지 정보제공 및 홍보 등이 포함된다.
특히 초미세먼지 고농도 위기경보가 발령될 경우 단기간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기 위한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장의 비산먼지 다량 발생 공정을 단축ㆍ조정하고,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며, 대기배출 사업장(1~3종)의 가동률을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또한 주요 간선도로 및 취약 도로에 대한 청소를 강화해 미세먼지 발생을 억제할 방침이다.
이번 미세먼지 저감사업 종합계획은 민선 8기 시민제안공약의 일환으로, 정부 및 서울, 경기 등 수도권과의 공동 대응을 기본으로 한다.
시의 미세먼지 배출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사업을 추진하고, 미세먼지 정보제공을 강화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시 관계자는 “도로먼지, 건설공사 비산먼지, 수송 분야 등 시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핵심 배출원에 대한 저감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체계적인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통해 맑고 쾌적한 대기환경을 조성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