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콩 340톤 '국산 포대갈이'

    사건/사고 / 김점영 기자 / 2024-05-29 16:42:23
    • 카카오톡 보내기
    콩나물ㆍ두부업체에 판 일당 적발
    70대 구석... 5명

    [창원=김점영 기자] 중국산 콩을 국내산인 것처럼 포장재만 바꿔 시중에 대거 유통한 일당이 검찰에 송치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남지원(경남농관원)은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70대 A씨를 구속 송치하고 50대 B씨 등 5명을 불구속 송치했다고 29일 밝혔다.

    경남농관원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 2022년 11월~2023년 9월 경남 김해시에서 중국산 콩 340t과 중국산 녹두 9t을 국내산으로 둔갑시켜 콩나물 제조업체 등에 판매한 혐의를 받는다.

    2022년 실수요용 식용 대두 수입권을 얻은 B씨는 수입한 중국산 콩 340t을 지정 용도인 두부 제조에 사용하지 않고 모두 A씨에게 팔아 약 1억원을 챙겼다.

    개인 무역업자 60대 C씨는 A씨가 B씨를 통해 중국산 콩을 구입할 수 있게 알선하는 대가로 수수료 2000만원을 챙겼다는 게 경남농관원의 설명이다.

    A씨는 이렇게 얻은 중국산 콩을 나머지 일당 3명과 재고관리, 포대갈이, 배송 판매 등으로 역할을 나눠 시중에 유통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산인 줄 알고 콩을 구입한 피해 업체들은 콩나물 공장 등 10여곳에 달했다는 게 경남농관원의 설명이다.

    이들 업체에서 생산된 콩나물과 두부 등은 전국 시중 마트 등에 팔려나갔다.

    이렇게 시중에 판매한 금액만 13억원으로, A씨는 약 4억원의 부당 이익을 챙겼다.

    경남농관원은 저가의 국내산 콩을 유통하는 업소가 있다는 첩보를 토대로 수사에 나서 이들을 적발했다.

    국내산 콩은 소매 기준 1㎏당 6000∼7000원 수준이지만 이들은 1㎏당 약 4000원에 판매했다.

    A, B씨는 단속에 대비해 생산·판매 장부를 허위 작성하고 농가에서 생산한 국내산 콩인 것처럼 원산지 증명서도 허위로 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용 농관원 경남지원장은 "이번 범죄 입증을 위해 시료 분석과 압수수색 등 수사 기법을 최대한 활용해 많이 노력했다"며 "앞으로도 국민들이 농식품을 믿고 구입할 수 있도록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 근절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