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한 목소리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쇼트트랙 심석희 선수 이후 유도 신유용 선수의 코치 성폭행 고발이 이어지면서 체육계 미투 운동이 불붙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체육계에 만연해 있는 코칭 스태프와 선수들 간의 이른바 갑을 관계가 해소돼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류태호 고려대 사범대학 교수는 지난 14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것들이 생소하거나 비정상적인 게 아니라는 반응들이 많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이번 두 선수의 폭로를 통해 체육계에 깊이 관련돼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터질 게 터졌다. 터지지 않은 게 이상하다’는 말을 한다. 약간의 입장 차이는 있지만 이런 문제에 상당히 익숙해져 있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의 전반적인 선수 양성 시스템들이 올림픽이라는 각종 국제 이벤트에서 메달을 따는 국위선양의 프레임 속에 갇혀 있다”며 “그들 속에서 이뤄지는 비밀스러운 대화, 그들과 관련된 다양한 집단들의 이해관계를 세상에 들어낼 수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국가 주도의 선수 육성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 개혁이 필요하다”며 “정권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건 여전히 국위선양이라는 프레임인데 그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용철 서강대 교육대학원 교수 역시 이날 이 문제와 관련, “스포츠계에 있는 성폭력을 뿌리 뽑는 기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날 오전 c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가장 먼저 코치와 선수 간 권력관계가 굉장히 수직적이고 이것은 선수의 현재를 좌지우지할 정도가 아니라 미래까지 다 담보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생겼을 때 얘기를 할 수 있는 관계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합숙훈련을 하거나 훈련을 하는 환경이 매우 폐쇄적이고 일반인의 눈에 안 띄는 그런 곳에 있어서 사실 이런 부분이 바뀌지 않으면 언제든지 이런 사건이 벌어질 수 있다”며 “더 중요한 건 이런 사건이 벌어졌을 때 걸려서 적발돼 처벌된 후에도 크게 문제시 되지 않고 다시 현장으로 돌아오는 선례들이 있어서 굉장히 치유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말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쇼트트랙 심석희 선수 이후 유도 신유용 선수의 코치 성폭행 고발이 이어지면서 체육계 미투 운동이 불붙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체육계에 만연해 있는 코칭 스태프와 선수들 간의 이른바 갑을 관계가 해소돼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류태호 고려대 사범대학 교수는 지난 14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것들이 생소하거나 비정상적인 게 아니라는 반응들이 많다”고 말했다.
류 교수는 “이번 두 선수의 폭로를 통해 체육계에 깊이 관련돼 있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터질 게 터졌다. 터지지 않은 게 이상하다’는 말을 한다. 약간의 입장 차이는 있지만 이런 문제에 상당히 익숙해져 있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의 전반적인 선수 양성 시스템들이 올림픽이라는 각종 국제 이벤트에서 메달을 따는 국위선양의 프레임 속에 갇혀 있다”며 “그들 속에서 이뤄지는 비밀스러운 대화, 그들과 관련된 다양한 집단들의 이해관계를 세상에 들어낼 수가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국가 주도의 선수 육성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 개혁이 필요하다”며 “정권이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건 여전히 국위선양이라는 프레임인데 그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용철 서강대 교육대학원 교수 역시 이날 이 문제와 관련, “스포츠계에 있는 성폭력을 뿌리 뽑는 기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날 오전 cpbc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가장 먼저 코치와 선수 간 권력관계가 굉장히 수직적이고 이것은 선수의 현재를 좌지우지할 정도가 아니라 미래까지 다 담보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생겼을 때 얘기를 할 수 있는 관계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합숙훈련을 하거나 훈련을 하는 환경이 매우 폐쇄적이고 일반인의 눈에 안 띄는 그런 곳에 있어서 사실 이런 부분이 바뀌지 않으면 언제든지 이런 사건이 벌어질 수 있다”며 “더 중요한 건 이런 사건이 벌어졌을 때 걸려서 적발돼 처벌된 후에도 크게 문제시 되지 않고 다시 현장으로 돌아오는 선례들이 있어서 굉장히 치유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