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1억 투입해 18개 주요사업 추진
장애 유형별 맞춤형 일자리 발굴·제공 팔걷어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가 장애인 재정지원 일자리 제공, 민간일자리 창출·취업지원을 비롯한 6개 추진전략 18개 주요 사업으로 4109개의 장애인 일자리를 만들고, 311억원(전년대비 60억원 증액)의 예산을 투입한다.
시는 11일 ‘2019년 장애인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시가 발표한 종합계획을 살펴보면, 재정지원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장애유형별 맞춤형 일자리를 발굴·제공해 소득 보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구·군의 행정도우미, 주차단속, 환경정비, 학교 급식도우미, 노인 안마서비스,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 보조 등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에게 일자리 1289개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처음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행정안전부 공모)의 일환으로 ‘장애인 청년인턴·현장매니저 지원 사업’에 국·시비 매칭 사업비 12억원을 투입해 장애인 고용친화 기업을 발굴하고 직무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장애인 일자리로 발굴한다.
또한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인 3.4%를 넘어 부산시 조례상 비율인 5% 달성을 위해 ‘직무분석 컨설팅단’을 운영하는 등의 시 산하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장애인 채용박람회 개최하고 장애인 기능경기대회를 지원하는 등 ▲장애인 민간일자리 창출과 취업지원도 확대한다.
지난해 게임물관리위원회와 체결한 장애인 일자리 창출협약을 통해 올해부터 운영되는 ‘게임물 모니터링단’에 장애인이 50% 이상(15명) 채용될 예정이며, 이를 계기로 4차산업 분야에 새로운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시는 장애인의 안정적 고용환경과 고용친화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장애인 맞춤형 피트니스 전문가 양성사업, 장애인 일자리 창출 포럼 개최, 부산 장애인 일자리 축제 개최 등을 통해 장애인 인식 개선과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다양한 시책도 추진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 일자리 유관기관과 협업을 강화해 특화된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며 “일하려는 장애인 모두가 일자리를 갖는 행복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장애 유형별 맞춤형 일자리 발굴·제공 팔걷어
[부산=최성일 기자] 부산시가 장애인 재정지원 일자리 제공, 민간일자리 창출·취업지원을 비롯한 6개 추진전략 18개 주요 사업으로 4109개의 장애인 일자리를 만들고, 311억원(전년대비 60억원 증액)의 예산을 투입한다.
시는 11일 ‘2019년 장애인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시가 발표한 종합계획을 살펴보면, 재정지원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장애유형별 맞춤형 일자리를 발굴·제공해 소득 보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구·군의 행정도우미, 주차단속, 환경정비, 학교 급식도우미, 노인 안마서비스, 발달장애인요양보호사 보조 등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에게 일자리 1289개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 처음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행정안전부 공모)의 일환으로 ‘장애인 청년인턴·현장매니저 지원 사업’에 국·시비 매칭 사업비 12억원을 투입해 장애인 고용친화 기업을 발굴하고 직무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장애인 일자리로 발굴한다.
또한 장애인 법정 의무고용률인 3.4%를 넘어 부산시 조례상 비율인 5% 달성을 위해 ‘직무분석 컨설팅단’을 운영하는 등의 시 산하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 확대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장애인 채용박람회 개최하고 장애인 기능경기대회를 지원하는 등 ▲장애인 민간일자리 창출과 취업지원도 확대한다.
지난해 게임물관리위원회와 체결한 장애인 일자리 창출협약을 통해 올해부터 운영되는 ‘게임물 모니터링단’에 장애인이 50% 이상(15명) 채용될 예정이며, 이를 계기로 4차산업 분야에 새로운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시는 장애인의 안정적 고용환경과 고용친화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장애인 맞춤형 피트니스 전문가 양성사업, 장애인 일자리 창출 포럼 개최, 부산 장애인 일자리 축제 개최 등을 통해 장애인 인식 개선과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다양한 시책도 추진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 일자리 유관기관과 협업을 강화해 특화된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며 “일하려는 장애인 모두가 일자리를 갖는 행복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